A Case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n Childhood

소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1례

  • Lee, Seung-Hoon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won, Soon-Young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ang-Hag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ang, Ji-Won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in-Kwan (Department of Pulmonary Sleep Disorder Center,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n, Chol (Department of Pulmonary Sleep Disorder Center,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승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
  • 권순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
  • 이상학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
  • 장지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
  • 김진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수면호흡장애센터) ;
  • 신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수면호흡장애센터)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The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can occur due to various etiologies in children. In otherwise healthy children, adenotonsillar hypertrophy is the leading cause of childhood obstuctive sleep apnea. Obstructive sleep apnea caused by adenotonsillar hypertrophy can lead to a variety of symptoms and sequelae such as behavioral disturbance, enuresis, failure to thrive, developmental delay, cor pulmonale, and hypertension. So if obstructive sleep apnea is clinically suspected, proper treatment should be administered to the patient after diagnostic examinations. More than 80% improvement is seen in symptoms of obstructive sleep apnea caused by adenotonsillar hypertrophy in children after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However, when it is impossible to treat the patient using surgical methods or residual symptoms remained after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additional treatments such as weight control, sleep position change, and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should be considered. This paper reports a case using weight control and Auto-PAP to control mild sleep apnea and snoring, which in long-term follow-up were not resolved after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for severe obstructive sleep apnea.

페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편도 및 아데노이드 비대증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원인이다. 편도 및 아데노이드 비대증에 의하여 발생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은 다양한 증상과 함께 행동 장애, 야뇨증, 성장 및 발달장애, 폐성심, 고혈압과 같은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임상적으로 소아에서 폐쇄성 무호흡증상이 수면 중에 관찰되면 적절한 진단과정 후에 상태에 따라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소아에서의 치료는 편도 및 아데노이드 비대증에 의한 경우 수술적인 제거를 통하여 80% 이상에서 호전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제거 후에도 증상이 남아있거나 수술적인 치료가 불가능한 환아에 대해서는 체중조절, 수면자세의 변화와 같은 생활습관의 조절 및 지속적 기도양압호흡기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저자들은 수면다원검사상 심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이 관찰되어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시행한 후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나, 장기간 추적관찰 후 재발한 수면무호흡과 코골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생활습관의 개선교육과 자동화 기도양압호흡기로 치료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