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정신생리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제11권1호
- /
- Pages.37-43
- /
- 2004
- /
- 1225-7354(pISSN)
- /
- 2713-8631(eISSN)
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와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의 임상적 특성 및 수면다원검사 소견 비교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olysomnographic Features between Manifest and Latent REM Sleep Behavior Disorders
- 김석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및 수면다원검사실) ;
- 이유진 (시립은평병원 정신과) ;
- 김의중 (을지의과대학교 을지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정도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및 수면다원검사실)
- Kim, Seog-Ju (Department of Psychiatry and Behavioral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Division of Sleep Studies an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Yu-Jin (Department of Psychiatry, Eunpyung Metropolitan Hospital) ;
- Kim, Eui-Joong (Department of Neurosychiatry, Eulji Hospital,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Jeong, Do-Un (Department of Psychiatry and Behavioral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Division of Sleep Studies an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발행 : 2004.06.30
초록
배 경 : 본 연구에서는 수면다원검사상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을 보이는 환자 중 수면 중 이상행동을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6년 6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수면다원검사실에 의뢰된 환자들 중, 야간 수면다원검사 시행결과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이 관찰된 5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수면다원검사 상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이 관찰되며 수면 중 이상행동을 호소하는 32명을 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 군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은 관찰되나 수면 중 이상행동은 호소하지 않는 20명을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 군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총 연구대상 52명 중 42명이 남성이었으며 10명이 여성이었다. 평균연령은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ossible differences in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finding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ubjective complaints of abnormal sleep behavior, in patients with RWA on polysomnography. Method: We reviewed patient records and polysomnographic data of patients referred to the Sleep Laborato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996 through October 2002. We defined the manifest RBD group (n=32) as patients having both complaints of abnormal sleep behavior and RWA on polysomnography. The latent RBD group (n=20) consisted of patients who exhibited RWA on polysomnography but did not complain of abnormal sleep behavior.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olysomnographic finding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Fifty-two subjects had RWA, as detected by polysomnography (42 males and 10 females, mean age of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