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lora of Sorok Island

소록도의 식물상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flora of Sorok Island was investigated 8 times from January 2001 to November 2002. The vascular plants recorded as total 604 taxa, 13 forms, 65 varieties, 1 subspecies, 524 species, 397 genera, 128 families.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were recorded 1 taxa (Millettia japonica (Sieb. et Zucc.) A. Gray), 12 taxa (3 variety, 9 species, 10 genera, 10 families) as Korean endemic plant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26 taxa, 1 variety, 25 species, 21 genera, 12 families, 4.30% and 9.15% among the total naturalized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in Korea. Visitor's numbers are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because nature views of Sorok Island are beautiful, which kind and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are forecasted to be increased. Strong conservation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소록도의 식물상 조사는 2001년 12월부터 2002년 11월 까지 총 8번 시행하였다. 본 조사결과 관속식물은 총128과 397속 524종 1아종 65변종 13품종 총 604분류군이 동정하였다. 멸종 위기 및 보호식물은 애기등이 관찰되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소사나무, 섬벚나무, 수양벚나무 등 10과 10속 9종 3변종 총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왕벚나무, 애기등을 포함 87종 3변종 총 90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그 외에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자리공, 미국자리공, 흰명아주 등 12과 21속 25종 1변종으로 우리나라 전체 귀화식물종 284종에 대한 도시화지수(U.I)및 귀화율은 9.15%와 4.30%이다. 조사지역은 남해안아구로 자연경관이 뛰어나 방문객의 수가 갈수록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어 귀화식물의 종류와 수는 앞으로 더욱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른, 본 섬의 강력한 보전대책 수립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연구원(2003) 한국외래식물. 인천
  2. 김광백 (1999) 손죽향토지. 길기획 . 서울, 353쪽
  3. 김인택(1996) 거제남부지역 식물상. 한국생물상연구지 1: 17-46
  4. 김종홍, 장석모, 이호준(1984) 거금도의 식생. 한국생태학회지 7(3): 132-157
  5. 김종홍. 장석모, 이호준(1986) 소록도의 식물목록-자원식물을 중심으로. 순천대학논문집 5: 271-288
  6. 김철수. 박연구, 양효식, 오장근(1990) 다도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III). 목포대학교 연안환경 연구 7(1): 1-11
  7. 김철수. 오장근(1992)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V). 목포대학교 연안환경 연구 9(1): 1-29
  8. 김철환(2000) 자연환경 평가(I. 식물군의 선정).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1): 163-198
  9. 김태욱. 김삼식(1978) 거제도 연근 6개 도서에 관한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 자연보호협회조사보고서 14: 35-58
  10. 산림청. 임업연구원(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산림청 . 240쪽
  11. 박선주. 김종홍. 김상민. 박흥덕. 우복주. 백기열(2004) 손죽도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18-41
  12. 박수현(1995) 한국귀화식물도감. 일조각. 372쪽
  13. 박수현(2001)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178쪽
  14. 이영노(1996) 원색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1247쪽
  15. 이우철(1996a)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623쪽
  16. 이우철(1996b) 한국식물명고(1). 아카데미서적. 서울 1688쪽
  17. 이우철, 임양재(1978) 한국유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 1-33
  18. 이우철, 이기의(1979) 한국식물자원의 분류학적 연구. 강원대학교논문집 13: 193-239
  19.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928쪽
  20. 이창복(1984) Outline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Kor. J. Pl. Tax. 14: 22-32
  21. 이호준, 김종흥. 변두원(1985) 외나로도의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이학논문집, 10: 51-85
  22. 이호준, 김종흥, 변두원(1986) 거문도와 대삼부도에 있어서 관속식물의 분포와 식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이학논집 11(1): 53-92
  23. 장석모. 정정채, 김종홍(1983) 거금도의 특산식물 자원에 관한 조사연구. 순천대학논문집 2: 91-128
  24. 환경부(2004) 자연환경보전법
  25. 환경부(2002) 전국무인도자연환경조사
  26. Melchior, H. (1964) A Engler' 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666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