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Recent Air Pollution Levels Observed in the Regional Air Monitoring Network -High Air Pollution Concentration Episodes and Their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in 2002

지역 대기질 측정망에 나타난 국내 대기오염도의 최근 동향 -2002년 고농도 사례 및 그 기상 특징

  • 김철희 (국립환경연구원 대기연구부) ;
  • 박일수 (국립환경연구원 대기연구부) ;
  • 이석조 (국립환경연구원 대기연구부) ;
  • 김정수 (국립환경연구원 대기연구부) ;
  • 진형아 (국립환경연구원 대기연구부) ;
  • 성한규 (국립환경연구원 대기연구부)
  • Published : 2004.04.01

Abstract

We report the high concentration episodes for PM$_{10}$, SO$_2$, NO$_2$, and $O_3$ in many urban areas Korea during 2002. The high concentration episodes are identified based on the 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and the observations obtained from the Regional Air Monitoring Network composed of approximately 160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s located in a number of major or big cities in South Korea including Seoul, Pusan, Daegu, and Incheon c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wenty cases of high concentration episodes in 2002 consists of both ozone warning episodes (6 cases) and high PM$_{10}$ concentration cases (14 cases), and one half of the latter are found to occur in association with the Yellow Sand (Asian Dust) phenomena. The most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the reported episodes are the excessively high levels of maximum PM$_{10}$ concentrations during the Yellow Sand period (i.e., exceeding 3,000$\mu\textrm{g}$/㎥ in April, 2002) and their variable occurrence frequencies across seasons. The high ozone concentration episode days are mainly resulting from both the high photochemical reactions and poor ventilations. The high PM$_{10}$ concentration days during non Yellow Sand periods, however, mostly occurred under the influence of synoptic meteorological conditions such as stagnant or slowly passing high pressure centers, and consequently prevailing weak wind speeds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overall results of our study thus suggest the importance of both synoptic and local meteorological factors for high concentration levels in the major and/or big cities in Korea.n Korea.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연구원(2003)'대기환경연보(2002)'
  2. 김기현, 김민영, 신재영, 최규훈, 강창희 (2002) $PM_2.5$, $PM_10$, TSP의 시간대별 관측결과에 기초한 황사기간중 분진의 농도 특성에 대한 고찰 : 서울시의 4대 관측점을 중심으로한 2001년 봄철 황사기간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8(5),419-426
  3. 김영성, 이시혜, 김진영,문길주, 김용표 (2002) 1980년대와 1990년대 우리나라의 시정 변화.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8(6),503-514
  4. 김영성(2000) 우리 나라의 오존 농도 변화 추이와 주요 인자.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6(6 ), 607-623
  5. 나광삼, 김용표, 진현철, 문길주(1998) 울산 대기중의 입자상, 기체상 물질의 수용성 이온 성분과 휘발성 유기화합불의 농도.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4(4),281-292
  6. 박세옥, 백남준, 김용표, 문길주, 김영성(1994) 1980-1993년 기간의 서울의 시정 추이,한국대기보전학회지, 10(3),203-208
  7. 백남준, 김태오, 김용표, 문길주(1994a) 시정장애 현상 원인과 그 규명방법 : 수도권 지역의 시정장애 현상연구를 위하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0(1), 1-23
  8. 백남준, 이성준, 김용표, 문길주, 조영일(1994b) 서울시의 1993년 가을 스모그 특성 모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0(2) 137-145
  9. 신혜정, 김지영, 최병철, 오성남, Jianzhen Yu, Keith Bower(2002) ACE-Asia 집중관측기간에 제주 고산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분포 특성, 18(6),487-501
  10. 오현선,윤순창(1996) 서울지역의 시정 악화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오염 빚 기상장의 특성,한국기상학회지, 32, 131-137
  11. 윤정임, 김선태 김정욱(1993)광화학 스모그 물질의 시계열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9(3), 183-190
  12. 이기원, 권숙표, 정 용(1993) 서울시 대기중 오존 오염도의 연도별 변화와 그 영향인자 분석-광화문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대기보전학회지, 9(1), 107-115
  13. 전영신, 김지영, 최재천, 신도식(1999) 황사시 서울과 안면도의 대기중 에어로졸 수농도 특성.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5(5),575-586
  14. 정용승, 윤마병(1994) 황사의 사례 분석과 한반도 유입량. 한국대기보전학회지,10(4),233-244
  15. 한진석, 김병곤, 김신도(1996) 1994년 수도권 지역에서의 시정과 미세 입자상물질 화학 조성과의 관계 해석,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2(4), 377-387
  16. 홍낙기,이종범,김용국(1993) 다변량 해석을 이용한 서울시하계 스모그의 형태 분류 한국대기보전학회지, 9(4),278-287
  17. Ghim, Y.S. and Y.-S. Chang (2000) Characteristics of ground-level ozone distributions in Korea for the period of 1990-1995. J. Geophys. Res., 105, 8877-8890
  18. Kim, Y.P., K.-C. Moon, J.-H. Lee, and N.-J. Baik (1999) Concentrations of carbonaceous species in particles at Seoul and Cheju in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33, 2751-2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