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Mn/NiFe에서 Laser 열처리에 의한 자구연구

Magnetic Domain Structure in Laser-Annealed NiFe/FeMn Bilayers

  • 최상대 (단국대학교 물리학과) ;
  • 김선욱 (단국대학교 물리학과) ;
  • 진대현 (단국대학교 의학레이저연구센터) ;
  • 이미선 (단국대학교 물리학과) ;
  • 안진희 (단국대학교 물리학과) ;
  • 주호완 (단국대학교 물리학과) ;
  • 김영식 (단국대학교 의학레이저연구센터) ;
  • 이기암 (단국대학교 물리학과) ;
  • 이상석 (상지대학교 컴퓨터전자물리학과) ;
  • 황도근 (상지대학교 컴퓨터전자물리학과)
  • 발행 : 2004.12.01

초록

교환결합된 NiFe/FeMn 이중박막에서 Laser 열처리를 통하여 국소적인 자화반전을 연구하였다. 600 G의 외부 자기장을 시편에 가하면서 DPSS Laser로 자화 반전시켰으며, 300 mW에서 15분 동안 국소적인 부분을 조사하였다. 국소적으로 자화반전 시킨 박막을 다시 원래 방향으로 역 반전시켜 자기저항(MR)곡선 피크가 감소된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직접적으로 Laser를 가한 박막의 손상과 계면에서 내부 확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국소적인 반전 자화의 자구구조는 MU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자화반전 영역에서 새로운 자구벽을 형성하였으며, Laser가 조사된 영역근처에서 자구벽이 형성된 것을 관찰하였다.

We have studied local magnetization reversal by laser annealing in exchange biased NiFe/FeMn bilayer. Local magnetization reversal was performed by using the DPSS laser under external magnetic field of 600G. When the laser illuminated the patterned film with the power of above 300 mW during 15 min, a magnetoresistance (MR) curve with symmetric peaks at the opposite field was obtained due to the local reversal of exchange biasing. The direction of exchange anisotropy in the locally reversed region can be restored by local laser annealing under alternating magnetic field, even if its MR peak was reduced by the damage and interdiffusion. The magnetic domain structure of the locally reversed region was measured by MFM. The new domains were generated by laser annealing near the exposed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S. W. Kim, S. D. Choi, D. H. Jin, K. A. Lee, S. S. Lee, and D. G. Hwang, J. Magn. Magn. Mater. 272, 376(2004) https://doi.org/10.1016/j.jmmm.2003.12.454
  2. W. H. Meiklejohn, C. P. Bean, Phys. Rev. 102, 1413(1956) https://doi.org/10.1103/PhysRev.102.1413
  3. G. A. Prinz, Science 282, 1660(1998) https://doi.org/10.1126/science.282.5394.1660
  4. E. B. Myers, D. C. Ralph, J. A. Katine, R. N. Louie, and R. A. Buhrman, Science 285, 867(1995) https://doi.org/10.1126/science.285.5429.867
  5. J. Z. Sun, J. Magn. Magn. Mater. 202, 157(1999) https://doi.org/10.1016/S0304-8853(99)00289-9
  6. C. Aroca et al. Phys. Rev. B 42, 8086(1990) https://doi.org/10.1103/PhysRevB.42.8086
  7. J. A. Katine, F. J. Albert, and R. A. Buhrman, E. B. Myers and D. C. Ralph, Phys. Rev. Lett. 84, 3149(2000) https://doi.org/10.1103/PhysRevLett.84.3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