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 용혈성 연구균 감염 후 발생한 반응성 관절염 1례

A Case of Child with Poststreptococcal Reactive Arthritis

  • 박동균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영민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정사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차성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ark, Dong-K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Kim, Young-M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Chung, Sa J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Cha, Sung-H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발행 : 2004.11.30

초록

임상적으로 급성 류마티스 열을 진단할 때 Jones 진단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 특히 관절염이 있고, 이하학적 검사상 A군 베타 용혈성 연구균감염과 관련이 있을 때, 급성 류마티스 열과 연구균 감염성 반응성 관절염의 구분은 치료나 예후를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지금까지의 문헌을 참고한 결과, 연구균 감염성 반응성 관절염으로 진단된 환아 중 소수에서도 심염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예방적 항생제 요법을 시행함에 있어 1년간 매달 페니실린 예방요법을 시행하고 심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급성 류마티스 열로 재분류 후 이에 준해 치료하여야 하겠다. 저자들의 증례는 고열과 왼쪽 무릎 관절통을 주소로 내원한 연구균 감염성 반응성 관절염 환아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patient with group A beta-hemolytic streptococcal infection and articular disease who does not fulfill the modified Jones criteria for a diagnosis of acute rheumatic fever(ARF) have been classified as poststreptococcal reactive arthritis/arthralgia. A 10-year-old girl had presented with fever and arthralgia. She had pain in her left knee for 7 days but no swelling. A throat culture showed no growth but antistreptolysin O titer and C-reactive protein were elevated. A clinical follow up one month later showed neither arthralia nor sequelae as acute rheumatic fever. Poststreptococcal reactive arthritis/arthralgia seems to be part of the disease spectrum of ARF and to prevent subsequent development of ARF and carditis in these patient, it is recommended that antistreptococcal prophylaxis should be administered for 1 year and then could be discontinued if there is no evidence of cardiac involve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