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velopment of System for Flood Runoff Forecasting using Neural Network Model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홍수유출 예측시스템의 재발

  • 안상진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전계원 (삼척대학교 방재기술전문대학원)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a development of system for flood runoff forecasting using neural network model. As the forecasting models for flood runoff the neural network model was tested with the observed flood data at Gongju and Buyeo stations. The neural network model consists of input layer, hidden layer, and output layer. For the flood events tested rainfall and runoff data were the input to the input layer and the flood runoff data were used in the output layer. To make a choice the forecasting model which would make up of runoff forecasting system properly, real-time runoff of river when flood periods were forecasted by using neural network model and state-space model. A comparison of the results obtained by the two forecasting models indicated the superiority and reliability of the neural network model over the state-space model. The neural network model was modified to work in the Web and developed to be the basic model of the forecasting system for the flood runoff. The neural network model developed to be used in the Web was loaded into the server and was applied to the main stream of Geum river. For the main stage gauging stations mentioned above the applicability of the selected forecasting model, the Neural Network Model, was verified in the Web.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 모형을 이용해서 개발된 홍수유출 예측 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홍수유출 예측을 위한 신경망 모형을 공주, 부여지점에 적용하였으며, 신경망 모형을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으로 구성하였다. 입력층에는 강우자료와 홍수량 자료를 출력층에는 홍수유출량이 예측되도록 구성하였다. 홍수유출 예측 시스템 구성시 예측모형 선정을 위해 신경망 모형과 상태공간 모형을 이용하여 홍수시 실시간 하천유출량 예측을 수행하였다. 두 모형의 예측결과 비교시 신경망 모형이 실시간 홍수량 예측에 적합한 모형으로 선정되었다. 신경망 모형은 Web 상에서 사용이 가능하게 변환하여 홍수유출 예측시스템의 기본모형으로 개발되었다. Web 기반 모형으로 개발된 신경망 모형을 서버에 탑재하고 금강수계의 본류와 주요 지점에 적용하여 Web 상에서 개발된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원준, 조원철(1999).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저수지 유입량의 실시간 예측모형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 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1999, pp. 209-214
  2. 김만식, 심순보, 심규철(1998). '신경망이론에 의한 다목 적 저수지의 홍수유입량 예측',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1권, 제1호, pp. 45-57
  3. 김성원(2001). 하천유역에서 홍수유출량의 예측을 위한 신경망기법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6-B호, pp. 801 -811
  4. 김주환(1993).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하천유출량의 수문학적 예측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5. 신현석, 윤강훈, 서봉철(2001). '신경망을 이용한 실시간 홍수 유출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대한 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6. 안상진, 전계원(2001). 'RBF를 이용한 홍수유출량 예측.'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1권 제6-B호, pp. 599-607
  7. 안상진, 이재경, 한양수, 전계원(2002). '유출예측 모형을 이용한 홍수유출 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3-B호, pp. 311-319
  8. 오경두, 전병호(1994). '미계측 중소유역 유출 시뮬레이션을 위한 신경회로망 모형의 적용.' 제36회 수공학 연구발표회 논문집, 한국수문학회, pp. 317-323
  9. 오남선(1996). 신경망이론과 Kalman Filter 강우예측모형의 비교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0. Anthony W. M..(1996). 'Extened Rainfall-Runoff Model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Hydroirformatics '96, Proc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 on Hydroinformatics, Zurich, Switzerland, pp. 207-213
  11. Bin Zhang and Rao S. Govindaraju (2003). 'Geomorphology-based Artificial Neural Networks (GANNs) for Estimation of Direct Runoff over Watersheds.' Journal of Hydrology, Vol. 273, pp. 18-34 https://doi.org/10.1016/S0022-1694(02)00313-X
  12. French, M. N., Krajewski, W. F., and Cuykendall, R. R. (1992). 'Rainfall Forecasting in Space and Time using a Neural Network.' Journal of Hydrology, Vol. 137, pp. 1-31 https://doi.org/10.1016/0022-1694(92)90046-X
  13. Hsu, Kuo-Lin, Gupta, H. V., and Sorooshian, S. (1995).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ing of the Rainfall-Runoff Proces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 pp. 2517-2530
  14. Karunanithi, N. (1994). 'Neural Networks for River Flow Prediction.'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ASCE, Vol. 8, No.2, pp. 201-219 https://doi.org/10.1061/(ASCE)0887-3801(1994)8:2(201)
  15. Shim, K. C.,(1999).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Integrated River Basin Flood Control. Ph.D.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CO, Spring
  16. Thirumalaiah, K(1998). 'River stage forecast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SCE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3, No. 1, pp. 26-32 https://doi.org/10.1061/(ASCE)1084-0699(1998)3: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