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Operation of Ecological Interpretation - Based on the Visitor Characteristics in Urban Park -in the Case of Incheon Grand Park-

탐방객 특성에 기초한 도시공원 생태교육 프로그램 운영 방안 -인천대공원을 중심으로-

  • 조우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
  • 유기준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visitors' park use characteristics and provide effective directions fur managing facilities and programs of ecological interpretation in Incheon Grand Park, Korea. To accomplish the purposes of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ith 376 samples was carried on the park. As for the results, most respondents were pointed relaxation with natural environment as a main visiting purpose. Visitors highly interested in programs of ecological interpretation and also respondents' intension of participation to those programs showed far more positive. Based on the results, there was a need fer introducing facilities and programs of ecological interpretation as a park management strategy in order to induce nature-friendly park use and connect to environment education in the school system. In addition, some suggestions which should be developed a base facilities and various programs were made.

본 연구는 도시자연공원인 인천대공원을 사례대상지로 공원 탐방객 이용행태 및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한 생태교육 시설 계획과 프로그램 운영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응답자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가 공원이용을 마치고 귀가하는 376명의 탐방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인천대공권을 방문한 탐방객들의 주 방문목적은 자연접촉을 통한 휴식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원내에서의 생태교육 프로그램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으며 향후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친자연적 공원이용을 활성화하고 학교환경 교육과도 연계시킬 수 있는 공원운영 정책으로서 생태교육 관련 시설 및 프로그램의 도입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효율적인 시설도입과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생태교육 거점시설 조성과 다양한 생태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이 특히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1999) 국립공원 자연학습탐방 프로그램 및 자연해설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자연학습탐방로 조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328쪽
  2. 남상준(1995) 환경교육론. 대학사. 478쪽
  3. 남상준, 김대성, 김두련, 이상복, 한세일(1999) 환경교육의 원리와 실제. 원미사, 208쪽
  4. 성수진, 김용근(2001) 생태공원에서 환경해설자의 교육적 효과 - 길동자연생태공원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28(6) : 52-61
  5. 유기준, 김정민 (2002) 산악형 국립공원에서의 이용 및 관리속성에 대한 탐방객 태도- 강원도 소재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산림 휴양학회지 6(2): 49-59
  6. 조우(2001) 도시자연공원의 친자연적 이용을 위한 생태교육 활성화 방안 -인천대공원으 중심으로 -. 인천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2001-08.167쪽
  7. 조우, 장종수, 민성환, 오강임(2003) 인천광역시 수목원 조성 기본계획. 한국조경학회지 31(5):96-107쪽
  8. 최석진(2000) 환경교사연수반 자료집: 환경교육교수법의 실제. 국립환경연구원, 191-204쪽
  9. 油許正昭(1987)國立公園と國定公園の自然究研路に關 する研究. 千葉大園學報 39: 37-52
  10. Fazio, J.(1979) Information and education techniques to improve minimum impact use knowledge in wildness areas. In proceedings of conference on recreational impact on wildlands. USDA Forest Service No. R-6-001: 227-233
  11. Ross, T.L. and G.H. Moeller(1974) Communicating rules in recreation areas. USDA Forest Service. Reaearch Paper. NE-297. PA: northeast Forest Experiment S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