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ulder Uptake in the Bone Scintigraphy in Patients with Hemiplegic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Syndrome

반신마비성 반사성교감신경 이영양증후군 환자의 골스캔상 견관절 섭취

  • Lee, Jong-Jin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June-Key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Dong-Soo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ong, Joon-Beom (Departments of Rehabilitation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Tai-Ryoon (Departments of Rehabilitation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Myung-Chul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종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정준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이동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홍준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과교실) ;
  • 한태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과교실) ;
  • 이명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Published : 2004.08.31

Abstract

Purpose: increased uptake of wrist and hand joints in three phase bone scintigraphy (TPBS) have been used in the detection of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syndrome (RSDS). TPBS frequently shows increased shoulder uptake in the hemiplegic RSDS patients. We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of the shoulder uptake in the detection of thes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three patients who had hemiplegia due to brain stroke and diagnosed as RSD were enrolled in this study (M:F=16:7, R:L=11:12). The mean age was $63{\pm}10$ yrs. Ter normal volunteer (mean age: $60{\pm}5$, M:F=1:9) data was used as control group. TPBS was performed $59{\pm}32$ days after stoke (acute stage). We obtained the count ratios of bilateral hands by drawing a region of interest (ROI) in three phase images and compared to the count ratios of shoulders in the delayed image. Hand ROI included an ipsilateral wrist. Sensitivity of detecting the affected limb was defined using the right/left count ratio of normal control. Results: Sensitivities using count ratios of hand blood flow, blood pool and delayed image were 45%, 76% and 78%, respectively. Sensitivity of shoulder count ratio was 74%. Log of right/left counts of hand delayed image and that of shoulder delayed image were correlated well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Spearman's R=0.824, p<0.001). Conclusion: Shoulder uptake showed good correlation with hand uptake in the delayed image of TPBS. Shoulder uptake maybe helpful in the diagnosis of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syndrom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목적: 삼상골스캔상의 증가된 손목과 손의 관절의 증가된 섭취는 반사성교감신경 이영양증후군의 소견이다. 반신마비성 반사성교감신경 이영양증후군 환자에서의 병측 견관절 섭취 증가는 드물지 않은 소견으로서 이번 연구에서는 이런 환자들에서의 견관절 섭취의 임상적 의미를 알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뇌졸중으로 반신마비가 된 환자 중 임상적으로 반사성교감신경 이영양증후군으로 진단된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남:녀=16:7, 좌:우=11:12). 평균나이는 $63{\pm}10$세였다. 10명의 정상 자원자의 데이터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평균 나이 $60{\pm}5$, 남:녀=1:9). 삼상골스캔은 뇌졸중 발병 후 $59{\pm}32$ 일에 시행하였다. 관심영역을 그려서 삼상의 양손의 우/좌 섭취비를 각각 구하였고, 이를 지연 영상에서의 견관절 섭취 우/좌 섭취비와 비교하였다. 손의 관심 영역은 손목을 포함하였다. 검사의 예민도는 정상 대조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결과: 관류 영상과 혈액 풀 영상, 지연 영상의 손의 우/좌 섭취비를 이용한 삼상골스캔의 민감도는 각각 45%, 76%, 78%이었다. 지연 영상의 견관절 섭취비를 이용한 민감도는 74%이었다. 지연영상의 손 우/좌 섭취비와 견관절 우/좌 섭취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Spearman's R=0.824, p<0.001). 결론 : 지연 영상에서의 견관절 섭취는 지연 영상의 손 섭취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병측 견관절 섭취 증가 소견은 반신마비성 반사성교감신경 이영양증후군 환자의 진단에 도움을 주는 소견이다.민감도는 스캐너의 횡축방향 708.6 (2D), 2931.3 (3D) counts/sec/MBq, 횡축방향 중심에서 10cm 벗어난 지점에서 728.7 (2D), 3398.2 (3D) counts/sec/MBq 이었다. 산란 분획은 0.19 (2D), 0.49 (3D)이었고 최고 참 계수율과 NECR은 2차원 영상 획득 모드에서 40.1 kBq/mL 일 때 64.0 kcps, 40.1 kBq/mL 일 때 49.6 kcps, 3차원 영상 획득 모드에서 4.76 kBq/mL 일 때 53.7 kcps, 4.47 kBq/mL 일 때 26.4 kcps이었다. 결론: 이 실험에서 NEMA NU2-2001로 측정한 PET스캐너의 물리적 특성은 PET스캐너에 대한 객관적 평가 및 최적화 된 영상 획득과 분석에 유용할 것이다.로 사료되었다.률 또한 신경회로망(59%)과 핵의학 전문가(72%)의 진단 성적이 거의 다르지 않았다. 결론: 이 연구에서 개발한 간질병소 국소화를 위한 신경회로망 시스템은 측두엽간질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생체광학 영상을 이용한 다약제내성 유전자 및 Pgp 발현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이나, 분자 생물학적 영상법의 발전과 함께 MRI 기술등에도 이용될 수 있으므로 향후 많은 연구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mu}M$에서는 각각 40%와 5%만 섭취되었다. MTT assay상 K562(Adr)세포에서는 verapamil $100{\mu}M$ 이상에서는 유의하게 낮았으나 다른 세포는 $200{\mu}M$까지에도 차이가 없었다. PKC 아형의 분석상 PKC $\varepsilon$

Keywords

References

  1. Rho RH, Brewer RP, Lamer TJ, Wilson PR.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Mayo Clin Proc 2002;77:174-80 https://doi.org/10.4065/77.2.174
  2. Schott GD.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1;71:291-5 https://doi.org/10.1136/jnnp.71.3.291
  3. Fournier RS, Holder LE.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diagnostic controversies. Semin Nucl Med 1998;28:116-23 https://doi.org/10.1016/S0001-2998(98)80022-6
  4. Van de Beek WJ, Schwartzman RJ, van Nes SI, Delhaas EM, van Hilten JJ. Diagnostic criteria used in studies of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Neurology 2002;58:522-6 https://doi.org/10.1212/WNL.58.4.522
  5. Greyson ND, Tepperman PS. Three-phase bone studies in hemiplegia with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and the effect of disuse. J Nucl Med 1984;25:423-9
  6. Dursun E, Dursun N, Ural CE, Cakci A. Glenohumeral joint subluxation and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in hemipleg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0;81:944-6 https://doi.org/10.1053/apmr.2000.1761
  7. Kozin F, Soin JS, Ryan LM, Carrera GF, Wortmann RL. Bone scintigraphy in the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syndrome. Radiology 1981;138:437-43 https://doi.org/10.1148/radiology.138.2.7455127
  8. Holder LE, Mackinnon SE.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in the hands: clinical and scintigraphic criteria. Radiology 1984;152:517-22 https://doi.org/10.1148/radiology.152.2.6739825
  9. Murray I.P.C. Nuclear medicine in clinical diagnosis and treatment. 2nd e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1998. p. 1236-38
  10. Henkin R.E. Nuclear medicine. 1st ed. St.Louis: Mosby; 1996. p.1182-85
  11. Demangeat JL, Constantinesco A, Brunot B, Foucher G, Farcot JM. Three-phase bone scanning in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of the hand. J Nucl Med 1988;29:26-32
  12. Snels IA, Dekker JH, van der Lee JH, Lankhorst GJ, Beckerman H, Bouter LM. Treating patients with hemiplegic shoulder pain. Am J Phys Med Rehabil 2002;81:150-60 https://doi.org/10.1097/00002060-200202000-00013
  13. Daviet JC, Preux PM, Salle JY, Lebreton F, Munoz M, Dudognon P, et al. Clinical factors in the prognosis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I after stroke: a prospective study. Am J Phys Med Rehabil 2002;81:34-9 https://doi.org/10.1097/00002060-200201000-00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