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of WMS Model for Runoff Analysis of Miho Stream Basin

미호천 유역의 유출해석을 위한 WMS 모형의 적용

  • 안상진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무경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전계원 (삼척대학교 방재기술전문대학원) ;
  • 연인성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4.11.01

Abstract

In this study, Miho stream basin(Seokhwa water level gauging station) In Geum river, Flood control main station of Geum River Flood Control Office, is selected. Hydrologic topographical informations are calculated using WMS which is hydrologic analysis software coupled with GIS Method, and flood analysis is accomplished by HEC-1 included In WMS. To calculate the effective rainfall CN values of SCS are used. Clark, Snyder and SCS methods are selected respectively to derive unit hydrograph. This study shows the applicability of GIS techniques to runoff simulation in ungauged basin by comparing with actual measured flood hydrograph. As a results, Snyder(Tulsa) method and Clark (Herby) method is suitable to Miho stream basin. But Snyder(Tulsa) method is suitable more than Clark(Herby) method. A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urbanization, the peak discharge has increased and the peak time has tended to decrease.

본 연구에서는 금강홍수통제소의 홍수조절 주요지점인 금강수계의 미호천 유역(석화 수위관측소)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다. GIS와 결합된 홍수유출모형인 WMS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지형특성인자를 추출하였으며, 유출해석은 WMS에 내재된 HEC-1을 이용하였다. 유효강우량의 산정을 위해 SCS의 CN 값을 사용하였으며, 합성단위도법으로는 Clark, Snyder 및 SCS 무차원 단위도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측 수문곡선과의 검증을 통해 미계측 유역에서의 강우유출모의에서 GIS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미호천의 경우 Snyder(Tulsa) 방법과 Clark(Kerby) 방법이 대체로 적합한 방법으로 나타났고, Snyder(Tulsa) 방법이 Clark(Kerby) 방법보다 좀 더 적합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도시화 정도에 따라 첨두유량이 증가하였고 첨두유량 발생시간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금강홍수통제소 (1998, 1999, 2000, 2002). 금강홍수예경보
  2. 건설교통부 금강홍수통제소 (1996). 금강홍수예경보 시스템 개선
  3. 김경탁 (1998). GIS 적용에 따른 유출응답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4. 김영호 (2003). GIS 기법을 이용한 보청천 유역의 유출 해석,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5. 김성준 (2003). WMS HEC-1을 이용한 안성천 평택수위 관측소 상류유역의 수문 경년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6권 4호, pp. 609-621
  6. 신사철 (1996).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에 의한 유출해석,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29권 6호, pp. 131 -139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2). 수문모형 평가에 관한 연구
  8. 한국수자원학회 (2002). 제10회 수공학웍샵 교재
  9. 함창학 (1996). 지형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수문지형정도 추출에 관한 기본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10. Bhaskar, N. R., James, W. P., and Devulapalli, R S. (1992). Hydrologic parameter estimation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 ment, ASCE, Vol. 118, No. 5, pp. 492-512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2)118:5(492)
  11. Brigham Young University-Engineering Computer Graphics Laboratory (1999). WMS v6.0 Referren ce Manual & Tutorials
  12. Crruise, J. F. and Miller, R. L. (1993). Hydrologic modeling with remotely sensed databases,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29, No. 6, pp. 997-1002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3.tb03262.x
  13. Mayer, S. P., Salem, T. H., and Labadie, J. W. (1993).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urban storm water management,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19, No. 2, pp. 206-398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3)119:2(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