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logy and Distribution of Crushed Aggregate Resources in Korea

국내 골재석산의 분포와 유형 분석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The demand of aggregate resources in Korea has been increased with a rapid economic growth since the 1980s. About 25% of the total aggregate production is derived from riverine aggregates, 20% to 25% from marine sands, 40% to 45% from crushed aggregate and the rest 5% to 15% from old fluvial deposits. The abundance of crushed coarse aggregates varies in the uniform distribution of country, but in general it can be concentrated in the most densely populated areas, five main cities. Typical rock types of the Korean crushed stones are classified as plutonic rocks of 27%, metamorphic rocks of 32%, sedimentary rocks and volcanic rocks of 18%,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coarse aggregate used in the country is obtained from granite (25% of total) and subordinately gneiss (20%), sandstone (10%) and andesite (10%). Although rock types using as dimension stone are only fifteen, those as aggregate amount up to twenty nine rocks. These rocks consist of plutonic rocks such as granite, syenite, diorite, aplite, porphyry, felsite. dike and volcanic rocks such as rhyolite, andesite, trachyte, basalt, tuff, volcanic breccia and metamorphic rocks such as gneiss, schist, phyllite, slate, meld-sandstone, quartzite, hornfels, calc-silicate rock, amphibolite. And sandstone, shale, mudstone, conglomerate, limestone, breccia, chert are main aggregate sources in tile sedimentary rocks. The abundance of plutonic rocks is the highest in Chungcheongbuk-do, and decreases as the order of Jeollabuk-do, Gangwon-do and Gyeonggi-do. In Jeollanam-do, volcanic aggregates occupy above 50%, on the contrary sedimentary aggregates are above 50% in Gyeongsangnam-do.

국내에서의 골재의 수요는 198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빠르게 증가되어 왔다. 국내 골재 생산량 중 하천골재의 비율은 약 25%, 바다골재 20∼25%, 육상골재 약 5%이며, 산림골재는 약 40∼50%를 점하며 거의 모든 굵은 골재의 공급을 담당하고 있다. 산림골재는 지역적으로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나 서울, 부산 등 광역시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국내 산림골재로서 개발되는 암석은 심성암류 27%, 변성암류 32%, 퇴적암류와 화산암류가 각각 18%를 차지한다. 암종별로 보면 전체 골재석산에서 화강암 대상이 25%, 편마암 20%, 사암 10%, 안산암 10%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석재로 이용되는 암종은 국내 암석 종류 중 15개 암종에 불과하지만 골재로 이용되는 암종은 석재 이용 암종의 2배인 29종으로 심성암류는 화강암, 섬장암, 섬록암, 반화강안, 반암, 규장암, 맥암 등이며, 화산암류는 유문암, 안산암, 조면암, 현무암, 응회암, 화산각력암 등이다. 또한 변성암류에서는 편마암, 편암, 천매암, 슬레이트, 변성사암, 규암, 혼펠스, 석회규산염암, 각섬암 등이 사용되고, 퇴적암에서는 사암, 셰일, 이암, 역암, 석회암, 각력암, 쳐트 등이 이용된다. 이들 암종들 중에는 석재로 사용하기 어려운 셰일, 이암, 화산각력암 등이 포함된다. 석재에서는 화강암이 70∼80%의 점유빈도를 보이지만 골재에서는 25% 정도의 점유율만을 보인다. 두 번째로 많이 이용되는 암종은 편마암으로 전체 점유율 중 20% 정도 차지한다. 그리고 사암과 안산암이 10% 내외 정도의 점유율을 보인다. 도별 점유현황을 살펴 보면 충북에서 심성암의 비율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전북, 강원, 경기도의 순으로 심성암의 점유율이 감소하며 경남과 전남이 12%, 10%로 가장 낮은 점유율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보통 70∼80%의 심성암 점유율을 보이는 석재자원과는 매우 다른 형태이다. 전남지역은 화산암 골재가 50% 이상이며, 경남은 퇴적암 골재가 50% 이상을 점한다. 또한 변성암의 골재 사용비율은 경기도, 충남에서는 거의 50% 수준에 육박한다. 골재 석산은 경기도, 경북, 경남, 충북에서 거의 비슷한 비율로 분포하며 오히려 전북에서의 골재 석산의 수는 적은 편에 속한다. 강원도가 골재석산의 수가 가장 적은 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주용, 양동윤, 민충기, 남욱현, 황학수, 이진영, 박석환, 신현모, 김진관, 박덕원, 이창범, 고인세, 이병태, 홍세선, 윤현수, 이병태, 이현철, 민건홍, 박영수, 최헌수, 김원식, 김정기, 오근창, 이경미 (2003) 골재자원 부존조사 및 품질관리기술 연구. 제2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업자원부, KR-03(C)-06, 761p
  2. 이동영, 김정택, 이윤오, 김주용, 조진동, 이동남, 김윤종, 이봉주, 김석중, 권영인, 최종호, 성기성, 민충기, 김동숙, 임순복, 이창범, 박덕원, 이병대, 김경수, 이춘오, 박영수, 김승우, 이치원, 방효기, 민건홍, 김원식, 신원철, 이호영, 김정기, 김상우 (1995) 골재자원부존조사(경상권 하천, 산림골재 및 경기만 남부해역 바다골재). 제1권, 한국자원연구소, 통상산업부, KR-95(C)-38, 736p
  3. 이동영, 김주용, 김정택, 이윤오, 양동윤, 이동남, 김윤종, 이봉주, 최종호, 조진동, 민충기, 김동숙, 임순복, 이창범, 최영섭, 박덕원, 박영수, 김승우, 이치원, 방효기, 민건홍, 김원식, 신원철, 이호영, 김상우, 김정기 (1996) 골재자원부존조사(경기 및 수도권지역 하천, 산림 및 군산해역 바다골재). 한국자원연구소, 통상산업부, KR-95(C)-38, 707p
  4. 이동영, 김주용, 김정택, 이윤오, 양동윤, 이동남, 이상규, 황세호, 최용석, 신현모, 민충기, 김동숙, 임순복, 이창범, 최영섭, 박덕원, 민건홍, 박영수, 김원식, 이호영, 김정기 (1997) 골재자원부존조사(전라권지역 하천, 산림 및 신안해역 바다골재). 제1권, 한국자원연구소, 통상산업부, KR-96(C)-18, 978p
  5. 이동영, 김주용, 김정택, 이윤오, 양동윤, 이상규, 황세호, 황학수, 박인화, 이동남, 임순복, 이창범, 김동숙, 민충기, 박영수, 민건홍, 김원식, 이호영, 김정기, 박덕원(1997) 골재자원부존조사 (강원권지역 하천, 산림 및 목포해역 바다골재). 제1권, 한국자원연구소, 통상산업부, KR-97(C)-48, 1028p
  6. 이동영, 김주용, 조진동, 최종호, 이희일, 임무택, 정현기, 이보주, 조민조, 최순학, 유일현, 한대석, 김정택, 민충기, 김윤종, 김원영, 윤상규, 김규봉, 최위찬, 홍승호, 박기화, 황상기, 이병주, 송교영, 황재하, 윤욱, 서해길, 권석기, 신홍자, 이윤오, 박영수, 진재화, 방효기, 이호영, 김원식, 김정기, 김상우, 김승우, 조규장, 이치원, 민건홍, 신원철 (1994) 골재자원부존조사 (충청권 하천, 산림골재 및 경기만 북부 바다골재). 제1권, 한국자원연구소, 상공자원부, 673p
  7. 최민수 (2003) 지역별 골재 소비 구조 분석 및 수급안정방안. 건설산업동향, 2003-07, 한국건설산업연구원, p.1-20
  8.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3) 골재자원의 수급 안정을 위한 정책방안 토론회. p.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