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metabolites for 7-keto-DHEA-acetate in human urine

뇨시료에 함유된 7-keto-DHEA-acetate의 대사체에 관한 연구 (I)

  • Kim, Yunje (Doping Control Center,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Jinhee (Doping Control Center,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연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도핑콘트롤센터) ;
  • 이진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도핑콘트롤센터)
  • Received : 2004.06.30
  • Accepted : 2004.07.16
  • Published : 2004.08.25

Abstract

7-keto-dehydroepiandrosterone-acetate (7-keto-DHEA-acetate) is an anabolic steroids, and we studied basically to the metabolites of it after human dosing. We tested the matrix effect from human urine to detect the 7-keto-DHEA-acetate. And LC/ESI/MS and GC/MSD was used to detect the metabolites in dosed urine. We found the some unknown compound from dosed urine (M1, M2, M3, M4 and M5), and from these results, we supposed that these compounds have the more than 3 hydroxyl and/or ketone group. Metabolite M1 was supposed that molecular weight is 302 and 3-,17-diketone and 7-hydroxyl compound (7-OH-androstendione). Metabolite M2 was supposed that the molecular weight was same to M1 and 7-,17-diketone and 3-hydroxyl compound (7-keto-DHEA).

근육강화제의 일종인 7-keto-dehydroepiandrosterone-acetate (7-keto-DHEA-acetate)를 투여시킨 후 사람의 뇨를 통해서 배설되는 대사체들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향후 도핑 검사에 있어서 금지 약물로 선정될 경우를 대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먼저 뇨 시료의 매트릭스로부터 7-keto-DHEA-acetate가 방해 없이 효과적으로 검출되는 것을 알아보았으며, 약물을 복용한 dosed urine에 배설되는 대사체를 검출하기 위하여 LC/ESI/MS와 GC/MSD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바탕 뇨 시료에서 나타나지 않은 여러 개의 새로운 화합물들이 복용 뇨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이들을 M1, M2, M3, M4 및 M5로 구별 하였으며 이 결과들로부터 대사체 M1과 M2는 물분자가 제거될 수 있는 히드록시기나 케톤기를 세 개 이상 가진 구조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M1의 경우, m/z 518 이 분자이온이라면 분자량이 302인 이 대사체는 3번과 17번 탄소 위치에 케톤기, 7번 탄소위치에서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구조인 7-OH-androstendione이라고 예상 할 수 있었으며, M2의 경우에는 M1 대사체와 마찬가지로 m/z 518이 분자이온이라면 분자량이 302인 이 대사체는 3번 탄소 위치에 히드록시기가 있고 17번 탄소 위치에 케톤기를 가지며 7번 탄소위치에 케톤기가 있는 구조인 7-keto-DHEA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 Marwa, P. Marwa, H. Lardy, J. Chromatogr., B. 767, 285, 2002.
  2. A. Marwa, P. Marwa, H. Lardy, J. Chromatogr., A. 935, 279, 2001.
  3. W. Schancher, M Donike, Anal. Chim. Acta., 23, 275, 1993.
  4. Simon J. Gaskell J. Mass Spec., 32, 677, 1997.
  5. H. Lardy, N. Kneer, B. Partridge, Y. Wei, P. Marwa, Steroids, 63, 158, 1998.
  6. D. Goudreault, P. Bherer, J. Levesque, D. Poirier, C. Ayotte Cologne workshop on dope ananysis, 9, 73, 2001.
  7. R. Hample, L. Starka, Endocrinologia experimentlis, 1, 5,1 976.
  8. V. P. Uralets, P. A. Gilette. Cologne workshop on dope ananysis, 8, 119, 2000.
  9. P. Van Eenoo. F. T. Delbeke, N. Desmet, P. De Backer. Cologne workshop on dope ananysis, 9, 91, 2001.
  10. V. P. Uralets, P. A. Gilette. Cologne workshop on dope Ananysis, 9, 85, 2001.
  11. J. F. Levesque, C. Ayotte. Cologne Work shop on dope ananysis, 7, 213, 1999.
  12. R. Gonzalo-Lumbreras, R. lzquierdo-Hornillos. J. Chromatogr. B, 742, 1, 2000.
  13. M. Ueki, M. Okano. J. Toxicol. Toxin. Review, 18(2), 177,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