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ess Distribution of a Crane Hook by Photoelasticty Using 4-step Phase Shifting Method and finite Element Method

광탄성 4단계 위상 이동법과 유한요소법에 의한 크레인 훅의 응력분포 비교

  • 백태현 (군산대학교 기계공학부) ;
  • 김환 (군산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
  • 이춘태 (군산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 Published : 2004.02.28

Abstract

An experimental study for a crane hook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ress distribution along a certain line where the maximum and minimum stresses to be developed. On this line, the isoclinic fringe and/or principal stress direction is constant. The crane hook was modeled into a 2-dimensional plate made of urethane rubber called 'Photoflex' The Photoflex is very sensitive to a load and has low photoelastic fringe constant. The Tardy compensation method with the fringe sharpening process and the 4-step phase shifting method, was used for the photoelastic technique. Experimental results by photoelasticity were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stresses from the simple curved beam theory and tile finite element analysis. Ail the results were close to each other.

본 연구에서는 크레인 훅을 광탄성 재료의 일종인 '포토플렉스'를 이용, 2차원으로 모델링하여 힘을 가하였을 경우, 최대 압축 및 인장 응력이 발생되는 선상에서 광탄성실험법, 단순 곡선보 이론 및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응력을 측정하고 계산하였다. 특히, 광탄성 실험은 재래식 측정법에 의한 타디보간법, 프릭지 세선처리법 그리고 최근 개발된 4단계 위상이동법 등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광탄성 4단계 위상이동범은 주응력 방향, 즉 등경선이 일정한 선상에서는 연속적인 응력분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크레인 훅에서 주응력 방향이 일정한 선상에 발생된 응력은 3가지 서로 다른 광탄성 실험법에 의해 측정된 길과가 잘 일치하였다 광탄성법에 의한 결과는 훅의 끝단 부근을 제외하고는 단순곡선보 이론이나 유한요소 해석결과와 대체적으로 비슷하였으나,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차이는 크레인 훅의 실제 시편의 곡률등 형상과 하중조건이 단순곡선보 이론이나 유한요소 모델링 형상과 약간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광탄성실험법은 형상이 불규칙하고 하중조건이 복잡할 경우 실제 발생되는 응력을 전체적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응력해석에 대한 이를 및 수치해석 법을 검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M. M. Frocht, Photoelasticity, Vol. I and II, John Wiley and Sons (1967)
  2. J. W. Dally and W. F. Riley, Experimental Stress Analysis, Second Ed. McGraw-Hill, Inc. (1991)
  3. G. L. Cloud, Optical Methods of Engineering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4. A. Asundi, 'Phase Shifting in Photoelasticity', Experimental Techniques, Vol. 7, No. 1, pp. 19-23 (1993) https://doi.org/10.1111/j.1747-1567.1983.tb02075.x
  5. 백태현, 김명수, 김수일, ‘광탄성 프린지 위상 이동법을 이용한 곡선보평판의 응력해석’, 2000년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A권, 제24권, 제9호, pp. 2313-2318 (2000)
  6. 백태현, ‘광탄성 프린지 해석을 위한 영상처리 기법 개발’,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제18권, 제10호, pp. 2577-2584 (1994)
  7. ABAQUS VER. 6. 2
  8. 백태현, 김명수, 김수일, ‘광탄성법을 이용한 곡선보 평판의 응력분포 해석’, 비파괴검사학회지,19권, 3호,pp. 200-206 (1999. 6)
  9. T. E. Thorpe, 'An Experimental Intoroduction to Photoelasticity: A Programmed Learning Kit using the Sharpless Stress Master Polariscope', Victoria University, UK (1979)
  10. W. F. Riley, L. D. Sturges, and D. H. Morris, Mechanics of Materials, Fifth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