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bile system for younger generation based on the experience-based product development process

경험디자인을 적용한 모바일 상품 컨셉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종호 (우송대학교 컴퓨터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4.08.01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communication model and tools that would help in incorporating user experience into information appliance product development. To do so, this research suggested three major modelling techniques, including user-experience model, design strategy model and experience product model. Using these modelling tools, any members in design teams (investigator and designers) will be able to communicate their own ideas and research results each other at any period of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Each tools have distinct factors that would help identify elements in the user research stages, idea generation stages and product development stages.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se models,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final year students at their studio class. As a result, the benefit of using these tools were identified as 1) these tools accelerate the communication between user researchers, designers and engineers and 2) evaluation process of the product is much more dearer that before. and 3) various user research techniques can be explored.

상품개발에 있어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이란 특정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기능적 / 감성적인 충족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최근 들어 정보 가전, 컨텐트 사업자, 통신망 사업자 등에게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경험 기반 디자인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막상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1) 학계에서 제안된 경험 기반 상품 개발 프로세스는 개발 프로세스가 너무 길고 복잡하여 전폭적인 도입에 엄두가 나지 않는 다는 점, 2) 기존의 상품 개발 프로세스와의 접목이 부자연스럽다는 점, 그리고 3) 전반적으로 경쟁상황에서 빠르고 효율적인 상품 개발 프로세스를 원한다는 점등의 문제가 선결되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험 디자인 행위를 지원해 주는 도구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자 욕구 모델링, 디자인 전략 모델링, 경험 상품 모델링 등의 모델링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상품 개발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개발된 모델링 기법을 초등학생을 위한 모바일 게임 컨텐트 개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또한 모델링 기법의 제한점 및 개선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본 모델링 기법은 1) 사용자 조사의 유연성을 확보하는데 기여를 하였고, 2)사용자 조사와 상품 개발의 연결고리를 매핑과 평가를 통하여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3) 동시에 다양한 팀원의 참여를 가능케 한다는 점등이 확인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