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ethod of developing Scenario for Service Design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Focused on UC service development for Future home life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하의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방법론에 관한 연구 미래 가정의 UC(Ubiquitous computing) 서비스 개발을 중심으로

  • 심민정 (한동대학교 문화-미디어디자인 대학원) ;
  • 이은종 (한동대학교 산업정보디자인학부) ;
  • 안재순 (삼성종합기술원) ;
  • 김창수 (삼성종합기술원) ;
  • 김성운 (삼성종합기술원)
  • Published : 2004.08.01

Abstract

Ubiquitous computing will bring on comprehensive changes of environment. We need to understand how this change will change human life and what will be needed in this circumstances. Then we have to develope the appropriate sonic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e design of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has the concept of designing human life. Thus to develope the scenarios which are able to predict human life is to make a foundation of developing design concepts effectively. However there is a gap due to the lack of the dear methodology between the analyzing trend of technology and the process of estimating the future life and developing the service scenarios. So, most of the scenarios which have developed up to now do not present the service that exactly reflects all the complicated and pluralistic sides of environment. The service in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should take the form of grasping the user's context and offering the information with the most adequate way. Therefore we have to know when they need services, where they use services and what kind of services they want. It means that we should understand the life and the environment of user clearly and wholly with the prospect of developing service. We also need the method for developing UC(ubiquitous computing) service based on this. This study focuses on the future family life and analyzes the user's context from a point of view of service development and in this ground, we have progressed the research about the methodology to develop the UC service scenario for suggesting the service. Through the applying of this methodology, we could analyze the user's context systematically and could make the best use of the analyzed data for proposal service idea. And the UC service scenarios which reflect future life on the basis of various use's context could be developed.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가져올 변화는 종합적인 환경의 변화로서 이러한 변화는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어떻게 바꿔 놓을 것이며 이때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무엇인지를 이해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 적절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일이 이루어져야 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디자인은 사람들의 생활(life)을 디자인하는 개념으로, 미래의 생활에 대한 예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것은, 디자인 컨셉(concept)을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 경향과 그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 적절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과정 사이에는 명확한 방법론의 부족으로 간극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현재 개발된 시나리오들은 서비스가 제공될 환경의 복잡, 다차원적인 측면들을 정확하게 파악한 서비스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하에서의 서비스는 사용자의 컨텍스트(context: 정황, 배경, 환경)를 파악하고 그에 맞춰 필요한 정보를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형태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 어떠한 형태의 서비스를 필요로 할 것인지 서비스 개발의 관점에서 사용자의 생활과 환경을 명확히 파악하는 일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UC(Ubiquitous Computing) 서비스를 제안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미래의 가정을 중심으로 서비스 개발의 관점에서 가정에서의 사용자 컨텍스트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안하기 위한 UC 서비스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방법론의 적용으로 가정에서의 사용자 컨텍스트를 체계적으로 살피고 서비스 개발에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게 분석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사용자 컨텍스트에 미래의 생활상을 충분히 반영한 UC서비스 시나리오의 개발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