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문화권 문자도의 그래픽 콘텐츠 연구 -한, 중, 일, 베트남의 민간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raphic Contents of Munja-do of the culture sphere of Chinese Characters -centered on Minhwa of Korea, China, Japan, Vietnam-

  • 이명구 (동아방송대학 미디어디자인계열) ;
  • 남인복 (메트로신문사)
  • 발행 : 2004.08.01

초록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한국, 일본, 베트남 등지에서는 일반 서민계층에서 민간화가 성행하였다 그 중에 대표적인 길상문자도와 함께 표현방식은 다소 다르나, 보다 조형화 한 다양한 양식의 문자도가 있다. 이들은 17세기 이후인 명말청초대에 중국 각지에서 유행하던 연화 양식이 주변국으로 건너가면서 각 국가의 고유한 정서를 담은 특색 있는 양식으로 발전한다. 문자를 제재로 한 이들 연화나 문자도는 이미지를 문자화 하거나 문자를 이미지 화하여 제작된 것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우주론적인 도'를 눈에 보이는 선과 형태로 조형화 하여 나타낸 작품이라 하겠다. 문자를 소재로 한 이 같은 상징체계는 표의성을 대표로 하는 한자문화권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나라마다 독특한 양식은 당시 민간의 다양한 생활문화를 반영하고 있으므로 오늘날에도 연구 대상이 될 만하다. 특히 21세기 세계의 관심이 문화로 집약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전통 생활문화의 하나로서 문자도가 갖는 가치는 낮게 평가할 수 없다. 우리의 경우 다른 나라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양식의 문자도 문화를 가지고 있었기에 더욱 남다른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오늘날 한자문화권의 문자도 양식의 비교를 통해 전통문화에 패한 인식을 새롭게 함으로써 우리의 문화콘텐츠를 풍부하게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Folk painting was prevalent among working classes in the cultural territory of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Korea, Japan, and Vietnam. Other than Gilsangmunja-do(lucky and vulgar illustrated Chinese Character), the most popular of its kind, there are various types of different Munja-do(illustrated Chinese Character) which is more shaped/modeled. Chinese Nianhua style was popular in various parts of China from late Ming Dynasty to early Qing Dynasty, and they were conveyed to neighboring countries after the 17th century, where they adopted unique tradition of each country. Acquiring theme from Chinese characters, these Chinese Nianhua or Munja-do are designed by making images into characters or characters into images. They express the invisible 'Cosmological Taoism' as a visible shape and line. This kind of symbol system, using character as a subject matter, can only be witnessed in the cultural territory of chinese characters by the use of ideograms. It is worth of paying attention today because the uniqueness of each country's style reflects diverse life styles of the contemporary civilization. Specifically, values of Munja-do as a traditional culture may not be underestimated in today's society where culture has become the center of concern. Munja-do in Korea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since Korea has had a very unique Munja-do culture that cannot be found from other countries. Therefore, by comparing Munja-do styles of today's the cultural territory of chinese characters countries, we may enlighten ourselves on our tradition and flourish our cultural cont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