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wareness of User s to Avatar Characters in the Cyberspace

가상공간의 아바타 캐릭터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조사

  • 이향재 (동해대학교 멀티미디어영상학과)
  • Published : 2004.08.01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user awareness of avatar character in the cyber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ser preference toward avatar and test their awareness on it. The awareness of avatar is based on the applied degree of self-awareness, and also analyzed by factors using 3 elements such as loyalty, value and confidence in Maurice Wagner's study but self-projection was added to these three variable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response groups for age and sex classification but the preference and the value variables are significantly dependent on sex and age, respectively. There are strong correlation among each response variables for the awareness of avatar character and the loyalty and the preference variables are mostly correlated. Th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preference of avatar is mostly affected by loyalty and thus the self awareness of avatar in the Cyberspace is proportional to user preference. It is shown that users do not awareness an avatar as a visual image but identify their avatar as an another selfness since they project themselves into those avatars.

본 연구는 가상공간의 아바타 캐릭터에 대한 사용자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수행에 있어서 우선 아바타에 대한 호감 도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아바타에 대한 인식을 검증하였다. 아바타 인식은 자기인식척도를 응용하고 모리스 와그너(Maurice Wagner)가 표현한 소속감, 가치관, 자신감등의 건전한 자기인식 3요소에 동일시를 추가하여 요인별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성별과 연령에 대해서는 반응평균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거의 나지 않았고 성별에 따라 아바타의 호감도 그리고 연령에 따라 가치관에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아바타의 인식에 대한 각각의 측정개념들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소속감과 호감도 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산출되었다. 회귀분석에서도 아바타에 대한 호감 도에서 소속감이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으므로 가상공간의 아바타에 대한 인식은 사용자의 호감도가 높음에 따라 아바타에 대한 자기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자기의 아바타를 하나의 시각적인 형상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를 동일시 할 정도의 몰입현상으로 자기개념을 형성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