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Aesthetical approach to the Computer-based Layer

컴퓨터 기반의 레이어(layer)에 대한 매체미학적 분석

  • Published : 2004.05.01

Abstract

The recent aesthetical argument has been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art and media. Now media is a kind of creative activity and dynamic factor which comprises aesthetic perception in itself compared to that of the past linear thingking era that was just a means of proving presence. Norbert Bolz, a leading media-aesthetician, puts the emphasis on the transformation of image, not the its dupe. He urges that this artistic form does not deliver the image of object, but means the objectless image itself. Therefore creativity is caused by an effect of a optional technic in the stage of technological environment where is under the control of the non-linear thingking system. In this context, this essay investigates to confirm the above mentioned aestheical views by analyzing the computer based layer as an detailed example, and to illuminate the designers creative activity where is deemed to be under its radical influence. Therefore it can be dedicated to the extension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design, bridging between two practices accor ding to the Bolz's notion that the new aesthetical concept should be accompanied by ' the Design Science ', that is centered on the new media.

현대미학의 논의는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한 예술과의 상호 관계, 즉 매체에 대한 새로운 미학적 해석으로 시작된다. 과거 선형적 사고체계의 문자시대와 비교할 때 매체는 반드시 현존을 증거하는 수단에 불과하였으나 이제 그것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있어서 그 자체로서 하나의 창조적 행위이며 그 안에 미적 관념 자체를 내포하고 있는 역동체인 것이다. 매체 미학의 대표적인 이론가인 볼츠는 새로운 매체 시대의 예술은 '이미지의 복제'가 아니라 '이미지의 변형'이 주요한 관건이며, 이 예술형식은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전달하는 것이 아닌 그 자체만이 존재하는 대상 없는 이미지가 중심을 이루어지므로 결국 비선형적인 사고체계가 지배하는 기술적 환경에서의 창의성이란 선택적 테크닉의 한 효과라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컴퓨터 환경의 레이어(layer)가 그러한 이미지 변형의 핵심적인 기술중심의 예라고 상정하고 위에서 언급된 매체 미학적 관점들을 검증하고자 했으며, 나아가 작업자인 디자이너의 창작과정에 그것이 어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이는 새로운 시대의 미학적 개념은 새로운 미디어가 지배하는 '디자인의 과학'으로 정의되어야 한다고 하는 볼츠의 매체미학과의 조우를 통해서 디자인의 학문으로서의 이론적 토대를 확장시키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말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