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illustration Major

일러스트레이션 전공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연구

  • 곽영권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4.05.01

Abstract

Developing curriculum in the field of illustration i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During the past 30 years, illustration industry has achieved remarkable success in South Korea. Moreover the trends in styles are various today. Aspiring Korean illustrators were awarded prizes by authoritativ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ir illustrated picture books lately. Regardless of achievement in the field of illustration, an adequate curriculum to educate illustrators was never developed. Facing the challenging circumstances of the 21th century, professors of illustration need to be specialized and they must study the ultimate curriculum of illustration. Since illustration is a visual language, the kernels of education for illustration are teaching the nature of visual communication, getting the objectivity of communicating and establishing a professional techniques for expression. Even though the basic formative arts training courses are fairly important to students who major in illustration, it is impossible to see the achievement with the current situation of curriculum. In order to make good products of illustration and competent illustrator, we must try to create education system which well-matched for an independent genre of illustration field. Besides 1 hope this study will be used as one of the teaching methods for the field of animation and cartoon as well as for the field of illustration.

이 논문은 일러스트레이션 전공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이 주목적이다. 지난 30년 동안 일러스트레이션 분야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눈부시게 발전했으며 유형도 매우 다양해졌다. 최근에는 한국작가들의 작품이 국제적으로 인정된 단체에서 수상을 하는 등 나름대로의 성과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 일러스트레이터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은 마련되지 않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달라진 환경과 시대에 필요한 교과과정의 연구와 이에 걸맞는 교수진의 전문성 화보가 지름길이라고 생각한다. 시각언어인 일러스트레이션 교육의 핵심은 소통의 본질과 객관성 확보, 그리고 표현 방법론의 전문화이다. 또한 일러스트레이터 양성을 위한 기초조형교육은 매우 중요하지만 현재의 교육과정으로는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양질의 일러스트레이션, 일러스트레이터의 배양을 위해서 독립된 장르의 위상에 맞는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한 때이다. 아울러 이 졸고가 일러스트레이션 전공의 교육뿐만이 아니라 인접한 만화나 애니메이션 분야의 교육방법론으로도 접목될 수 있기를 바랄 뿐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