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Dual-Earner Couple′s Household Work Time and Life Satisfaction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채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소비자학과) ;
  • 이기영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This study aims at studying dual-earner couple's household work time and life satisfaction in modern times. To reach this goal, dual-earner couple's variable of society and population, income for working hours, attitude of sex's role and working hours time were classified as individual variable of study model. In the end of 2000, positive analysis was completed through dual-earner couples' frequencies, percentage, means, paired-samples T 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o 112 Korean couples in 'Research material for comparative analysis of family's time use in Korea and in the United States' performed by Lee, Ki-young, along with 3 person in the end of 2000. The time of household work performance at home at this stage is about 30 hours. 90% of 30 hours was given by housewife who was working for another job. In the aspect of dual-earner couple's life satisfaction, the life satisfaction is a little over the level of average. In variables couple's life satisfaction, wife's life satisfaction was additionally influenced by variable of wife's profession, age difference of couple, wife's household work time husband's household work time and wife's sex-role attitudes in oder. Husband's life satisfaction was perfectly influenced by his level of education, his household work time and wife's sex-role attitudes.

Keywords

References

  1. 기은광(2003).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공평성 인지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숙 . 이정우(1993). 주부의 가정관리능력과 가정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대한가정학지, 31(3), 29-46
  3. 김경신 . 김오남(1996). 맞벌이 부부의 역할기대 및 역할갈등과 결혼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1-18
  4. 김외숙 . 서창원(1986). 부부간의 가사노동분담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방송통신대 논문집, 5, 425-439
  5. 김재경 . 문숙재(1992). 부부의 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1), 53-74
  6. 도미향 . 최외선(1990). 비전문직 취업주부의 결혼적응과 부부간 의사소통양식 및 그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2), 69-85
  7. 서광희 . 조병은(1993). 농촌부부의 배우자역할평가와 결혼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1(1). 97-120
  8. 성영애 . 양세정(1996). 가사노동시간의 결정요인: 비취업주부와 취업주부의 비교. 인천대학교 논문집 2제1권, 89-106
  9. 송혜림(1988). 남편의 가사노동 협력에 대한 부인의 기대 및 남편의 협력실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송혜림(2000). 맞벌이 가정에서 남편의 가사노동참여실태.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논문집, 2(1), 103-115
  11. 윤명희 . 엄정빈(1985). 도시남편의 결혼 만족도와 가사노동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 103-118
  12. 윤복자(1995). 가사노동 및 작업시간. 대한가정학회지, 13(2), 151-169
  13. 이기영(1987). 가사노동의 상품대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4. 이기영 . 김외숙(2002).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5. 이기영 . 이연숙 . 김외숙 . 조희금 . 伊藤セツ . 天野寬子(2001). 한국과 일본의 생활시간 비교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6. 이승미(1994). 남편의 가사노동 참여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충북가정학회지, 3(1), 23-31
  17. 이연숙 . 이기영 외(2002). 한 . 미 양국간 가족의 시간사용 비교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3), 139-156
  18. 이정수(1984). 가족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의 질 인식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22(2), 103-132
  19. 이현아 (1994). 남편의 생활시간구조와 가정생활문제에 관한 부부의 지각.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임정빈 . 이종숙(1989). 확대기 가정부부의 가정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7(3), 117-132
  21. 장병옥 . 이정우(1998). 취업주부의 부부 역할수행 . 가정생활 기여도 및 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3), 39-52
  22. 조미환(1998). 도시 기혼남성의 가사노동 참여와 가정생활 만족도. 한국여성교양학회지, 5, 5-20
  23. 조미환 . 임정빈(1991). 도시주부의 가정관리행동유형과 가정생활만족. 대한가정학회 지, 29(2), 169-184
  24. 조미환 . 임정빈(1997).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참여. 한국가정관리 학회지, 15(4), 369-386
  25. 조희금(1998). 생산직 기혼여성의 건강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 167-180
  26. 조희금(1998). 사무직 기혼여성 부부의 가사노동 분담 실태 및영향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 147-159
  27. 조희금(1999). 취업기혼여성의 일-가정갈등과 직업 및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7(2), 145-158
  28. 차성란(1998). 서울시와 대전시 거주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시간. 대한가정학회지, 36(5), 137-150
  29. 최규련(1984).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2(2), 91-102
  30. 최규련 . 서동인(1995). 맞벌이가족 연구의 현황. 맞벌이가정의가족문제, 99-261. 도서출판:하우
  31. 최수선(1995). 남편의 가사노동참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한경미(1991). 취업주부의 시간사용과 영향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171-190
  33. 한경미(1995). 기혼취업 여성의 가정, 직업, 여가생활만족과 영향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13(3), 47-57
  34. 한경미 . 황덕순(1990). 주부의 여가시간과 생활의 질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1), 69-82
  35. 허경옥(1994). 부인과 남편의 가사 및 육아시간 결정요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90-105
  36. Kamo, Y.(1994). Division of Household Work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Journal of Family Issues, 15(3), 348-378 https://doi.org/10.1177/019251394015003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