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Pattern of Environmental loadings on Border Region of Gyeonggi Province

경기도 접경지역 환경부하의 공간적 특성 분석

  • Published : 2004.08.01

Abstract

The Boundary Region in Gyeonggi Province has environmental vulnerability due to the increasing development pressure although usually regarded as an ecologically well-preserved region. This paper is aimed to analyze the status of environmental loading on natural resources of the Boundary Region in Gyeonggi Province through investigating land-use conversion pattern during the past 15 years(1985-2000), the attitude of the local community towards conservation policy, and the status of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development pressure has been focused upo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Boundary Region in Gyeonggi Province such as Gimpo, Paju, Dongduocheon, and Yangju since 1995. Secondly, local residents' strong aversion exists towards the conservation policy led by the government because of their underdevelopment. Finally, the risk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is high because the region is not equipped with adequate environmental treatment facilitie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The status of environmental loading in the Boundary Region suggests the necessity to establish a well-designed management plan for natural resources in this area.

경기도 접경지역은 저개발로 인해 청정한 환경을 유지해 왔으나 개발압력과 주민들의 개발 욕구로 인해 환경훼손에 취약한 지역이다. 이 논문은 경기 접경지역의 토지이용 변화패턴과 지역정서, 환경관리 기반시설의 현황을 분석하여 이 지역이 직면한 환경부하의 실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김포, 파주, 동두천, 양주 등 서울과 근접한 서남부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개발 압력이 높아지고 있으며, 토지규제 기반의 생태서식지 보전정책에 대한 저항 정서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오염배출 시설의 입지가 서부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높아지고 있으나 수질$.$폐기물 관련 환경관리 기반시설이 미비하여 환경훼손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접경지역의 환경부하에 대한 체계적인 대책이 요청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