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경지역연구의 이론적 모델과 연구동향

Theoretical Models and Research Trends of Border Region Research

  • 김상빈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
  • 이원호 (한국토지공사 토지연구원)
  • 발행 : 2004.08.01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접경지역 연구에 대한 문헌을 검토하고, 특히 여기서 발견되는 주요한 이론적 모델과 국내외 사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경기도 접경지역에 적합한 분석 틀 구축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접경지역 연구가 오래 전부터 행해진 유럽과 미국 및 최근의 동남아시아나 국내 사례에 대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적인 사실들이 발견되었다. 첫째, 국경 및 접경지역과 관련된 용어상의 혼란이 존재한다. 둘째, 접경지역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들은 초기에는 경계가 가지는 장벽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으나, 점차 접경지역이 폐쇄적인 공간에서 개방적인 공간으로 변화함에 따라 이에 걸맞는 모델들이 개발되고 있다. 셋째, 접경지역을 다양하게 유형화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이것들은 궁극적으로 접경지역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넷째, 해외사례를 검토한 결과 접경지역이 더 이상 고립되거나 변방에 머무르지 않고, 강력한 지원과 지역협력을 통해서 성장이 기대되는 지역으로 변화하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esearch on the border region, especially herein to consider theoretical models critically and then to gain the implication for appropriate analytical framework or rather theoretical model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rough the review of various literature, major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the term of border or frontier was used in a rather ambiguous way. Second, the early models in the border region research have been developed to explain barrier effects, of which the border was considered to playa role. However, as border regions change from the closed regions to the opened ones, more adequate models have accordingly been developed. Third, there were several attempts to typify border regions and they tend to focus on the issue of regional development of the regions. Fourth, according to the case studies of the border region research, many border regions are not in isolation or peripheral position any more. Rather they are transformed into potentially prosperous regions through the support of authority as well as inter-regional cooper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