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odel of Environmental Naturalness for Roadscape - Focused on the National Road in Suburb Areas -

도로경관의 자연환경성 모형 -교외지역 국도를 중심으로-

  • 홍영록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권상준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조태동 (강릉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review the information data for minimizing the destruction of environmental naturalness and the visual damage of landscape from road construction by establishing a model of environmental naturalness for national roads in the suburb areas to suggest an answer to a research question, ' hat does decide the environmental naturalness of roadscape?'. We found that 1) The road-side slope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escription of environmental naturalness of roadscape, but the fact that the road-side slope from road construction is the destruction of natural topography cannot be overlooked. 2) In terms of the direction of value variations for independent variables, signboard and telegraph post, soundproofing and protection wall, structure, and building acted toward negative (-) direction, while mountains, sky, road trees, fields, and surrounding green including the road-side slope acted toward positive(+) direction. 3) The variable with highest relative contribution to dependent variables among independent variables is building, which has importance as many as 148 times of road-side slope, while the variable road-side slope has the least importance. Building has the importance of 7.22 times, mountains 5.51 times, road trees 2.59 times, surrounding green 2.54 times, structure 2.41 times, signboard and telegraph post 2.37 times, soundproofing and protection wall 2.20 times, and sky 1.32 times of the fields as a standard criterion values 1.

Keywords

References

  1. 三澤 彰, 松崎 喬, 宮下修一, 1994, 自動車道路のランドスケ一プ計劃-環境と景觀の立場からみた道路づくり-, 株式會社 ンラトサイェンス社, 63-64pp.
  2. 권상준, 1999, 초종적 발전을 위한 패러다임과 도시공간 창출, 경남개발, 40, 58-107.
  3. 금기정, 2001, 도로건설 및 교통체계에서의 친환경성, 경기논단, 2001년 여름호, 29-41pp.
  4. 손원표, 권오섭, 최한길, 2002, 경관을 고려한 도로선형 설계, 한국도로포장공학회지, 4(3), 29-41pp.
  5. 김종하, 이정호, 2001, 고속국도 인접환경에 대한 도시경관의 구조에 관한 연구-대구를 통과하는 경부고속국도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6), 145-151.
  6. 김학범, 장동수, 김정태, 2000, 지방도로 주변 경관개선에 관한 연구-안성38국도의 주요 조망지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8(2), 80-103.
  7. 유장호, 2000, 도시근교경관의 유형과 그 평가-서울-이천국도변 경관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1pp.
  8. 박창만, 1978, 운전자를 중심으로 본 도로경관의 구성기법에 관한 연구-우리나라 국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68pp.
  9. 김성만, 1995, 운전자의 연속적 경험을 돕기 위한 경관변환점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5pp.
  10. 채미옥, 1982, 시지각 특성을 기초로 한 도로경관 계획 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21pp.
  11. 노관섭, 2000,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친환경적 도로건설, 2000.7 건설기술정보, 200, 10-16.
  12. 최병국, 1998, 환경친화적인 도로 정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기술정보, 170, 16-23.
  13. 노관섭, 1994, 경관을 고려한 도로의 계획설계, 건설기술정보, 133, 4-9.
  14. 김종구, 谷村秀彦, 2000, 다차원척도법에 의한 가로경관의 평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5(3), 141-151.
  15. 이기오, 1985, 가로의 시각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0pp.
  16. 김기호, 1996, 게쉬탈트 이론을 적용한 도시경관 관리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1(3), 143-157.
  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1, 도로설계편람, 건설교통부, 207-1, 4.
  18. 임승빈, 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72-75pp, 224pp.
  19. 건설교통부, 2001, 도로현황조사, 건설교통부, 2001. 2. 1 기준, 인터넷자료.
  20. 홍영록, 권상준, 조태동, 2004, 국도의 경관변화 평가-교외지역 국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92-100.
  21. 권상준, 홍영록, 2004, 교외지역 국도건설에 따른 경관구조변화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산업과학연구, 21(2), 123-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