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XML Structure Translation System using Schema Structure Data Mapping

스키마 구조 데이타 매핑을 이용한 XML 구조변환 시스템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Last days, various kinds of applications and system were individually introduced into specific groups or enterprises by different objective without considering interoperability among those. However, the environment for data processing is changing rapidly in these days. And now the necessity is growing to integrate and couple applications and system in the process dimension for more flexible and quicker data processing on these application programs and system. When integrating these application programs or system, an integration based on XML is recommended as it is one of good methods which will the additional cost and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integration. This is because the XML is not only device-independent data type which can be used any platform, but also it uses XSLT, the document conversion standard established by W3C, which allows easy data conversion from one to another type on occasion of demands. This paper studie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ystem to convert XML structure. This system shows the structure of source- side providing data and destination-side processing data with using XML schema that defines structural information of a XML document. And this system defines the structure relationship of desired form as mapping structural information and data. This system creates the XSLT document that defines conversion rule between two structures based information which is defined. The XSLT document which is created as described above will convert data to be appropriate to the structure of the destination- side. By implementing this system, it is able to apply a document into various kinds of structure without considering specific system or platform and it is able to construct XSLT document to which meaning of desired form can be given. This paper aims to offer a process conversion between documents and to improve interoperability and scalability, so that we can contribute to build XML document processing environment

최근의 데이타 처리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특정 단체나, 기업 내에서 상호운용에 대한 고려 없이 서로 다른 목적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도입되었던 여러 어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 등은 유연하고 빠른 처리를 위하여, 프로세스 차원에서 통합되고 연동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추가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통합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 중 하나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 장치 비종속적인 데이타 형식이고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문서 변환 표준인 XSLT (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Transformation)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다른 형식의 데이타로 변환이 용이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중심으로 통합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XML 문서의 구조적 정보를 정의하는 XML 스키마(Schema)를 통해 데이타를 제공하는 원본(Source)측과 데이타를 처리하고자 하는 목적(Destination)측의 구조를 나타내고, 이러한 구조정보와 데이타 매핑(Mapping)을 통해 원하는 형태의 구조관계를 정의하며, 정의된 정보를 기반으로 두 구조간의 변환 규칙을 정의한 XSLT 문서를 생성하는 XML 구조 변환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렇게 생성된 XSLT 문서를 통해 데이타 처리를 필요로 하는 목적 측의 구조에 맞게 데이타가 재구성 되도록 변환한다. 이렇게, 특정 시스템이나 플랫폼과 관계없이 다양한 구조의 문서를 적용할 수 있게 되고 원하는 형태로의 의미 부여가 가능한 XSLT 문서를 생성하고, 이를 통한 문서간의 변환 처리를 제공하여 데이타의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 및 확장성을 높이고 XML 문서처리 환경 구축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회경 외 2인 공저, 'SGML 가이드'. 사이버 출판사, 1997
  2. 정회경, 'WWW 문서 작성을 위한 차세대 언어 XML 가이드'. 그린, 1998
  3. W3C,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Version 1.0 (Second Edition), http://www.w3.org/TR/REC-xml, Oct 6, 2000
  4. W3C, XSL Transformations (XSLT) Version 1.0 http://www.w3.org/TR/xslt, Nov. 16, 1999
  5. Michael Kay, 'XSLT Programmer's Reference,' WROX, 2000
  6. W3C, XML Schema Part 0 : Primer http://www.w3.org/TR/xmlschema-0/, May, 2, 2001
  7. W3C, XML-Data, http://www.w3.org/TR/1998/NOTE-XML-data/, Jan, 5, 1998
  8. Neil Bradiey, 'The XSL companion,' ADDISON-WESLEY, 2000
  9. 이형문 배재대학교 석사논문, 'XSL- FO를 적용한 XML 문서표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2000
  10. W3C, XML Path Language (XPath) Version 1.0, http://www.w3.org/TR/xpath, Nov. 16, 1999
  11. Microsoft Biztalk Server, http://msdn.microsoft.com/biztalk/
  12. C. Baru, A. Gupta, B. Ludascher, R. Marciano, Y. Papakonstantlnou, P. Velikhov, V. Chu, 'XML-Based Information Mediation with MIX,' exhibition program, ACM Conf on SIGMOD'99, 1999 https://doi.org/10.1145/304182.304590
  13. Won Kim, Jungyun Seo, 'Classifying schematic and data Heterogeneity in Multidatabase Systems,' Computer, pp. 12-18, 1991 https://doi.org/10.1109/2.116884
  14. 이강찬, 이경하, 이규철, 'XML 기반의 인터넷 정보 자원 통합,' 데이타베이스 연구, 한국데이타베이스연구회, 16권 2호, pp.5-21, 2000. 12
  15. 이승원, 권석훈, 김미혜, 이경하, 이규철, 'XML Schema를 이용한 스키마 통합시 충돌 문제의 분류,' 2001년 한국정보과학회 추계 학술발표논문집(I), pp.31-33, 2001
  16. W3C, Document Object Model Leve1, http://www.w3c.org/TR/REC-DOM-Level-1
  17. Charlie Heinemann, 'Describe Your Data' http://msdn.microsoft.com/library/en-us/dnexxml/html/xm1072099.asp. July. 20, 1999
  18. mentallink, 'http://www.mentallink.com/converter.html'
  19. Tagfreq, 'http://www.tagfree.com'
  20. Sonic Stylus Studio: Products: Sonic Software, 'http://www.sonicsoftware.com/products/additional_software/stylus_studio/index.ssp'
  21. The Castor Project, 'http://castor.exolab.org/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