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Fertilization on Aboveground Biomass and Distribution of Nutrient Content of Pinus rigida and Larix kaempferi Plantations in Yangpyeong area, Gyeonggi Province

질소와 인 시비가 경기도 양평지역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조림지의 지상부 생체량과 양분농도에 미치는 영향

  • 이임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환경부) ;
  • 손요환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오정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환경부)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Effec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fertilization on aboveground biomass and distribution of nutrient content in tree components were determined in adjacent 41-year-old plantations of Pinus rigida Miller and Larix kaempferi Gordon on a similar soil in Yangpyeong, Gyeonggi Province. Fertilizer was experimentally applied at the three levels [control(C), 200 N kg/ha+25 P kg/ha(LNP), and 400 N kg/ha+50 P kg/ha(HNP)] in June, 1996.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otal aboveground biomass of P. rigida and L. kaempferi stands was 149, 145ton/ha for control, 166, 149ton/ha for LNP, and 152, 170ton/ha for HNP, respectively, and did not differ between the tree species. Aboveground biomass of P. rigida and L. kaempferi plantations were distributed as follows: stemwood>branch>stembark>foliage. Biomass of understory vegetation was 1,111kg/ha for P. rigida and 907kg/ha for L. kaempferi, and comprised 0.6~0.7% of the total aboveground biomass of the plantations. The concentrations of all nutrients(N, P, K, Ca, Mg) were generally higher in L. kaempferi than in P. rigida because of high nutrient uptake characteristics of Larix spp. Nutrient concentrations in tree components of P. rigida and L. kaempferi plant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whereas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pecies and among tree components. The nutrient concentration in tree components of both tree species decreased in order of foliage>branch>stembark>stemwood. The contents of all nutrients were higher in the fertilized plots than in the control plots, generally the highest in LNP for P. rigida and in HNP for L. kaempferi. Total nutrient(N+P+K+Ca+Mg) contents of aboveground biomass were 703kg/ha for P. rigida and 869kg/ha for L. kaempferi, respectively.

본 연구는 질소 및 인 시비가 지상부 생체량과 양분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기도 양평지역의 유사한 토양 위에 조성되어 있는 41년생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조림지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시비는 대조구(control), 저농도 시비구 [200N kg/ha+25P kg/ha(LNP)], 고농도 시비구 [400N kg/ha+50P kg/ha(HNP)] 등 세 수준으로 처리하였으며, 본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임분의 총 지상부 생체량은 대조구가 149, 145ton/ha, LNP 처리구가 166, 149ton/ha, HNP 처리구가 152, 170ton/ha이었으며, 수종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임분 모두 지상부 각 부위별 생체량은 수간목부>가지>수피>엽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하층식생의 생체량은 리기다소나무림이 1,111kg/ha, 그리고 낙엽송림이 907kg/ha이었으며, 이는 전체 지상부 생체량의 0.6~0.7%에 해당되는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수체 내 모든 양분들의(N, P, K, Ca, Mg) 농도는 리기다소나무에 비해 낙엽송이 높았는데, 그 이유는 낙엽성 침엽수가 상록성 침엽수에 비해 높은 양분 흡수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임분의 각 부위별 양분농도는 처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수종간 각 부위간에는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수종 모두 각부위별 양분농도는 엽>가지>수피>수간목부의 순으로 감소되었다. 두 수종 모두 양분함량은 시비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많았으며, 리기다소나무는 LNP 처리구에서 그리고 낙엽송은 HNP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부 식생에 대한 총 양분함량은(N+P+K+Ca+Mg) 리기다소 나무가 703kg/ha 그리고 낙엽송이 869kg/ha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