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표수-지하수를 연계한 수자원이 효율적 이용 - (1) 방법론

Effective Use of Water Resource Through Conjunctive Use - (1) The Methodology

  • 이상일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 김병찬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 김수민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현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수자원부)
  • 발행 : 2004.10.01

초록

가뭄이나 장래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하나의 수원에 지나치게 높게 의존하고 있는 지역은 물 부족사태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기 때문에 연계이용을 검토할 수 있으며, 추가 및 신규 수자원 확보 차원에서도 연계이용은 매우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과 같은 비상시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해 지표수와 지하수를 효율적으로 연계하여 추가적인 수자원을 확보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ㆍ제시하였다. 개발된 방법론은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 적지선정을 위한 분석, 가뭄해석을 기초로 한 물 공급 시나리오 도출, 유형별 추가 수자원 확보량 산정 등의 절차로 구성되며, 체계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에 의해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을 계획할 수 있어 공공기관 등에서 물 관리 방안 수립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Conjunctive use of surface and ground water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resolve water shortage problems caused by drought or overpopulation. The region whose water supply depends on a single source has high risk of emergency situations, and may need to consider conjunctive use to overcome its weakness. Conjunctive use also can be a realistic and effective solution when additional or new water resources are to be developed.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ology for managing surface and ground water resources with the aim of supplying water in a sustainable way. The developed method encompasses procedures to assess site suitability for conjunctive use, to devise water supply scenarios based on drought analysis, and to quantify the amount of water attained. It is believed that the systematic and objective features of the developed method enable it to be a useful supportive tool for water management planning and decision-mak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2002), 지하수관리 기본계획, pp. 52-54
  2. 공민근, 윤성용 (2001), '새로운 취수방법으로서의 강변 여과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지, Vol. 34 No. 2, pp. 78-84
  3. 기상연구소 (1993), 우리나라 가뭄에 관한 연구: 강수량 변동에 관한 기후학적 특성 연구, 기상연구소, MR 93A-005, pp. 7-22
  4. 김선주, 이광야, 양용석 (1997), '저수지규모 및 지역별 용수공급지수(WSI) 조사분석,' 한국관개배수지, 한국관개배수, 제4권, 제2호, pp. 48-61
  5. 김형수 (2003), '한국에서의 인공함양 적용 사례 및 개발 방안,' 지속가능한 지하수 개발 및 함양기술개발 연구성과 및 지하수 인공함양 국제 심포지움 발표 논문집, 한국수자원공사, pp. 3-29
  6. 동국대학교 (2002),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 기법 개발(1차년도 연구보고서), pp. 26-28
  7. 부성안, 이기철 (2002), '지하수댐과 해안지역 염수침입 방지기술,' 농어촌과 환경, 통권 7호, pp.104-116
  8. 부성안, 이기철, 김진성, 정교철, 고양수 (2002), '지하수 댐 물막이벽 시공법과 해안지역 염수침입 방지기술 개선 방안,' 대한지질공학회, 제3권, 제2호, pp.215-234
  9. 속초시 홈페이지 (2003), http://sokcho.gangwon.kr/section/water/main.html
  10. 윤용남, 안재현, 이동률 (1997), 'Palmer의 방법을 이용한 가뭄의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4호, pp.317-326
  11. 이동률 (2002), '국가가뭄관리시스템의 구축방안,' 2002 가뭄대책 심포지움-가뭄의 진단과 가뭄극복 종합 대책, 한국방재협회, pp. 121-156
  12. 이상일 (2003), '지하수와 지표수의 연계개발 및 관리방안,' 세계 물의 해 심포지움(21세기 지하수자원의 지속가능한 개발, 이용 및 관리) 발표논문집,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pp. 79-90
  13. 이상일, 김병찬 (2003), '계층분석 과정을 이용한 지하댐 적지분석,'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Vol. 8, No. 4, pp. 36-44
  14. 이상일, 서해경, 손상철 (2002),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을 위한 지역 적합도 평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pp. 171-174
  15. 전인배, 송시훈, 지홍기, 이순탁 (2001), '우수이용 시스템의 설계기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6호, pp. 587-596
  16. 한국수자원공사 (1999), 지하수 함양 및 활용증대방안 연구, 수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WRRI-GG-99-1, pp. 171-173
  17. ASCE (2000). Dam Repair and Rehabilitation. Policy Statement 470
  18. Azaiez, M.N., and Hariga, M. (2001). 'A Single-Period Model for Conjunctive Use of Ground and Surface Water under Severe Over- drafts and Water Deficit.'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133, pp. 653-666 https://doi.org/10.1016/S0377-2217(00)00212-5
  19. Foster, S. (2002). 'Subsurface Dams to Augment Groundwater Storage in Basement Terrain for Human Subsistence-Brazilian Experience.' GW-MATE, Case Profile Collection No 5
  20. Guttman, N.B. (1999). 'Accepting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 Calculation Algorithm'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5, No.2, pp, 311-322 https://doi.org/10.1111/j.1752-1688.1999.tb03592.x
  21. Hanson, G., and Nilsson, A. (1986). 'Ground-water Dams for Rural-Water Supplies in Developing Countries.' Ground Water, Vol. 24, No.4, pp, 497-506 https://doi.org/10.1111/j.1745-6584.1986.tb01029.x
  22. Liu, P., Liu, Z., and Duan, Z. (1994). 'A Case Study on Artificial Recharge of Groundwater into the Coastal Aquifer in Longkou, China.' Artificial Recharge of Ground Water II, ASCE, pp, 464-470
  23.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9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pp. 233-236
  24. Molano, C., Bonilla, F., Mejia, J, and Rodriguez, C. (1994). 'Artificial Recharge of the Santa Marta Aquifer, Colombia.' Artificial Recharge of Ground Water II, ASCE, pp. 446-454
  25. Muhammad, S.E. and Richard, C.P. (1995). 'Maximizing Conjunctive Use of Surface and Ground Water under Surface Water Quality Constraints.'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18, No.2, pp. 67-75 https://doi.org/10.1016/0309-1708(95)00004-3
  26.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Paper No. 45, U.S. Weather Bureau
  27. 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 (2000). Sustaining Water: Population and the Future Renewable Water Supplies
  28. Print, C.R. (1997). 'Subsurface Dam for a Pastoral Environment.' 23rd WECD Corference, South Africa, pp. 401-403
  29. Saaty, T.L. (1977). 'A Scaling Method for Priorities in Hierarchical Structures.'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15, pp. 234-281 https://doi.org/10.1016/0022-2496(77)90033-5
  30. Saaty, T.L. (1999). 'The Seven Pillar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Kobe, Japan
  31. Shafer, B.A., and Dezman, L.E. (1982). 'Development of Surface Water Supply Index (SWSI) to Assess the Severity of Drought Condition in Snowpack Runoff Areas.' Western Snow Corference, pp. 164-175
  32. Yeh, W.W-G., and Emch, P.G. (1998). 'Management Model for Conjunctive Use of Coastal Surface Water and Ground Water.'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4, No.3, pp. 129-139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8)124:3(129)

피인용 문헌

  1. Groundwater-Stream Water Interaction Induced by Water Curtain Cultivation Activity in Sangdae-ri Area of Cheongju, Korea vol.49, pp.2, 2016, https://doi.org/10.9719/EEG.2016.49.2.105
  2. Influence of Groundwater on the Hydrogeochemistry and the Origin of Oseepchun in Dogye Area, Korea vol.49, pp.3, 2016, https://doi.org/10.9719/EEG.2016.49.3.167
  3. An Integrated Modeling Approach to Study the Surface Water-Groundwater Interactions and Influence of Temporal Damping Effects on the Hydrological Cycle in the Miho Catchment in South Korea vol.10, pp.11, 2018, https://doi.org/10.3390/w10111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