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ffects of Air-Assisted-Catalyst Element for Reducing Density of Formaldehyde in a New House

신축주택에서 포름알데히드 농도저감에 대한 공기 촉매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The sick house syndrome is occurred from the harmful elements that the building interior materials are given off after building construction or renovation. The appropriate methods, which is to prevent sick house syndrome from spreading have to be selected before building construction or renovation. Thus,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density of formaldehyde, one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fter sprinkling air-assisted-catalyst on the building interior space. As a result, the emit value of formaldehyde is measured 0.07ppm that is lower than the standard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0.1ppm, and the standard of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of Japan, 0.08ppm.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인, 김광희, 이제는 집도 웰빙이다, 도서출판 대가, 2004. 9.
  2. 김소영, 한진석, 김희강,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주요배출원의 배출물질 구성비에 관한 연구, 대기환경학회 vol. 7, no. 3, 2001.
  3. 김현중 역, 새집증후군의 실체와 대응전략, 한국목재신문사, 2004.1.
  4. 박진철, 주거건축물의 실내공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권 6호, pp.129-137, 2003.
  5. 백성옥, 국내 실내외환경에서의 VOCs 오염실태, 한국대기보전학 회 측정분과회 워크, 1997.
  6. 실내공기질 관리 및 측정 (Indoor Air Quality 2003),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
  7. 안장성, 실내 공기질의 리모델링, 리모델링 no. 9, 2004.
  8. 오석재 외 2인, 건축자재로 인한 실내 공기질 오염에 관한 제도적 개선연구, 한국환경정보 연구센터, 2003. 12.
  9. 윤동원, 건물의 리모델링과 실내 공기질의 관리, 리모델링, no. 9, 2004.
  10. 윤동원,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과 특성, 한국설비기술협회, 설비/공조.냉동.위생. 2004. 1.
  11. 윤동원, 실내의 VOC 오염과 제어 대책, 2000년 실내 VOCs 토론회, 2000.
  12. 이승민, Well being과 실내 공기질, 한국설비기술협회, 설비/공조.냉동.위생, 2004. 5.
  13. 장성기,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 작성방향, 주택도시, no. 79.
  14. 한국공기청정협회, 오염물질 방출 건축자재 선정관련 연구, 환경부, 2003. 1.
  15. 환경부고시 제2004- 80호, 실내공기질공정실험방법, 2004. 6.
  16. www.airguard.co.kr 국제그린산업(주)
  17. 日本建築學会 'シックハウス事典 '技報堂出版 '2001
  18. 日本建築學会 'シックハウス対策のバイブル '彰國社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