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Nb 박막의 강자성 공명 연구

A Study on the Ferromagnetic Resonance of FeNb Thin Films

  • 임우영 (고려대학교 정보소자학과) ;
  • 백종성 (고려대학교 정보소자학) ;
  • 이수형 (청주대학교 컴퓨터응용물리학과)
  • 발행 : 2004.08.01

초록

DC 마그네트론 스파터링 방법으로 제작한 F $e_{84}$ N $b_{16}$ (wt.%) 박막의 온도변화에 따른 자기적 특성을 강자성 공명 흡수선의 거동을 통하여 고찰했다 모든 온도영역에서 다수의 체적 모드 스핀파와 한 개 또는 두 개의 표면 모드가 관측되었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시편 양면의 표면 자기 이방성이 0보다 작은 경우에 나타나는 특성이다. 113-293K 온도영역에서 포화자화는 Bloch의 $T^{2}$ 3/ 법칙과 부합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분광학적 분리인자는 온도변화에 비교적 작은 변화 폭을 보였다 233-293K 온도구간에서 기판과 접하는 시편면의 표면 자기 이방성 상수 Ksl는 온도감소에 따라 그 갈이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공기와 접하는 시편면의 표면 자기 이방성 상수 $K_{sl}$ 은 상온에서 -0.322 erg/$\textrm{cm}^2$인 값을 보이다가, 온도가 253 K로 내려가면 -0.394 erg/$\textrm{cm}^2$로 감소한 후, 그 이하의 온도영역에서는 온도에 비교적 둔감한 특성을 보였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magnetic properties of $F_{84}Nb_{16}$(wt.%) thin films, ferromagnetic resonance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The ferromagnetic resonance spectra for all temperatures consist of several volume modes and one (or two) surface modes. It is suggested that both surface of the film have a perpendicular hard axis to the film plane (negative surface magnetic anisotropy). Saturation magnetization coincides with the Block's T$\^$2/3/ and spectroscopic splitting factor is almost constant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113 K to 293 K. The surface magnetic anisotropy constant K$\_$s2/ of the film-substrate interface increas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233 K to 293 K. The surface magnetic anisotropy constant K$\_$s1/ of the air-substrate interface decreased from -0.322 erg/$\textrm{cm}^2$ to -0.394 erg/$\textrm{cm}^2$ as the temperature decreased to 253 K and was almost constant below 233 K.233 K.

키워드

참고문헌

  1. J. Russ. Phys. Chem. Soc. v.45 no.103 V. K. Arkad'yev
  2. Nature v.158 J. H. E. Griffiths https://doi.org/10.1038/158670a0
  3. Phys. Rev. v.72 W. A. Yager;R. M. Bozorth https://doi.org/10.1103/PhysRev.72.80
  4. Phys. Rev. v.73 no.6 C. Kittel https://doi.org/10.1103/PhysRev.73.155
  5. Phys. Rev. v.110 no.6 C. Kittel https://doi.org/10.1103/PhysRev.110.1295
  6. Phys. Rev. Lett v.1 M. H. Seavey;P. E. Tannenwald https://doi.org/10.1103/PhysRevLett.1.168
  7. Phys. Rev. v.131 no.2 R. F. Soohoo https://doi.org/10.1103/PhysRev.131.594
  8. Phys. Rev. Lett. v.9 no.5 P. E. Wigen;C. F. Kooi;M. R. Shanabarger https://doi.org/10.1103/PhysRevLett.9.206
  9. Appl. Phys. Lett. v.2 no.4 A. M. Portis https://doi.org/10.1063/1.1753779
  10. 새물리 v.6 no.2 임우영
  11. 한국자기학회지 v.4 no.2 백종성;서영수;김약연;임우영;이수형
  12. 한국자기학회지 v.5 no.6 백종성;김약연;이성재;임우영;이수형
  13. 한국자기학회지 v.7 no.1 김약연;백종성;이성재;임우영;이수형
  14. 한국자기학회지 v.7 no.3 백종성;김약연;이성재;임우영;이수형
  15. IEEE Trans. Magn. v.33 no.1 Y. Y. Kim;J. S. Baek;S. J. Lee;W. Y. Lim;S. C.Yu;S. H. Lee https://doi.org/10.1109/20.617846
  16. J. Appl. Phys. v.85 no.8 Y. Y. Kim;J. S. Baek;K. W. Lee;W. Y. Lim;S. C. Yu;S. H. Lee https://doi.org/10.1063/1.370018
  17. J. Kor. Phys. Soc. v.35 J. S. Baek;C. O. Kim;W. Y. Lim;S. H.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