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Malty Culture supplementation diets during lactation on sow and litter performance

포유돈 사료에 Malty Culture의 첨가가 모돈 및 자돈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권오석 (동국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 홍종욱 (동국대학교 동물자원과학) ;
  • 이상환 (동국대학교 동물자원과학) ;
  • 김인호 (동국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ed diets with Malty Culture(MC) during lactation on sow and litter performance. Eighteen lactating sow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basal diet, basal diet+MC0.5%, basal+MCl.0%). Average daily feed intake of sow was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with treatment means ranging from 4.49 to 4.58kg(p>0.62). All sows lost their backfat thickness during lactation with no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p>0.25). Fecal moisture was similar for sows fed the control and MC treatments with 70% moisture content. The growth rate of piglets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ranging from 47 to 48kg. Day to estrus postweaning was not affected by supplementation of MC with treatment means ranging from 5 to 7 day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ilk production(i.e, 8.9kg/d for control, 9.18kg/d for MC0.5 and 9.20kg/d for MC1.0). Survivability of piglet was affected by feeding added MC during lact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gestibility of DM, but the digestibility of N tended to increase in sows fed the MC0.5 and MC1.0 supplemented diets compared to the basal diet(linear effect, p<0.10; quadratic effect. p<0.08). Digestibility of P tended to increase by the treatment of supplemented MC.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experiment suggest that lactation diet of supplemented MC could be a beneficial feeding for digestibility in sow and litter performance.

본 연구는 포유돈 사료내 Malty Culture(MC)의 첨가가 모돈 및 자돈의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모돈 18마리를 공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MC0.5% 첨가한 구 그리고 MC1.0% 첨가한 구로 배치하였다. 모돈의 일당 사료 섭취량은 처리간의 4.49∼4.58 kg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62). 모돈의 등지방 두께의 차이 역시 처리간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P>0.25). 모돈의 변비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분의 수분을 측정한 결과 70%정도로 처리구간 변비의 발생은 없었다. 자돈의 생산성의 경우 한배새끼수의 증체량은 47∼48kg으로 처리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24). 모든 처리구에서 모돈의 발정일수는 5-7일 이었으며 처리간의 차이는 찾아 볼 수 없었다. 유생산량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MC0.5와 MC1.0 처리구에서 각각 8.97, 9.18, 9.20(kg/d)으로 서로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자돈의 생존율에 있어 처리간의 차이는 없었다. 건물의 소화율은 처리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질소의 소화을은 MC0.5와 MC1.0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linear effect, p<0.10; quadratic effect, p<0.08). 또한 인 소화율의 경우 MC 처리구에서 약간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MC 첨가는 모돈과 자돈의 생산성에 있어 소화율의 향상을 보여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