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측만과 위장장애와의 관련성

Relations between Scoliosis and Gastroenteric Disorder

  • 홍상진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 대학원) ;
  • 김은영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 대학원)
  • 발행 : 2004.03.0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oracic scoliosis and gastroenteric disorder. In this article, We surveyed sixty two patients and investigat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health and meal habits, digestive trouble levels, stress levels(BEPSI-K), and the stress response index(SRI).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group in over $10^{\circ}$(vertebral scoliosis), under $10^{\circ}$(functional scoliosis) and made a diagnosis of X-ray of scoliosis grade. The data was took statistics on two group by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with SPSS/PC+ 10.0 program. The statistically significance was a p<.05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thoracic scoliosis was as many as women, weight 50∼60kg, height 160∼170cm, married person. 2. Relations between health and meal habit with thoracic scolios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3. Relations between thoracic scoliosis and digestive trouble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ce (p<.05). 4. Relations between thoracic scoliosis and incidence rate of internal disea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5. Relations between thoracic scoliosis and stress(BEPSI-K)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6. Relations between thoracic scoliosis and stress(SRI)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These results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thoracic scoliosis influences digestive trouble, incidence rate of internal disease and stress. However, there results are not easy to explain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a few subjects and a single comparison. Therefore, further research on this study thoroughgoing inspection would clarify the association of thoracic scoliosis and gastroenteric disord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경봉. 정신신체장애 환자들의 스트레스지각. 신경정신의학 1998:514-524
  2. 구봉오. 양하지 길이 차이에 따른 자세균형의 변화와 적응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3. 김대제. 대체의학으로 본 chiropractic.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4. 김용해. 피로하기 쉬운 자세, 해결의 핵심을 찾자. 안전보건 1997;97(4):58-65
  5. 김임여, 임갑채, 김윤희, 김경수, 신호철, 박은숙. 위장관계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서의 불안과 우울 성향. 가정의학회지 1992;13:916-926
  6. 김종원. 한국 중학생에서의 척추 측만증 유병률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7. 김철환. 피로 및 스트레스 평가도구. 가정의학회지 2003;24(4):368-375
  8. 김철환, 신호철, 박용우, 이행. 기능성 위장장애의 소화장애 정도와 Helicobactor pylori 및 스트레스와의 관련. 가정의학회지 2000;21(1):28-37
  9. 노정근, 중 . 고등 학생들의 척추 측만증(Scoliosis) 실태에 관한 고찰. 한국안전교육학회지 1998;3(1):84-90
  10. 문명상, 김인, 우영균. 척추 후만증을 동반한 성인척추결핵 환자의 폐기능에 관한 연구. 대한정형외과 학회지 1976;11-2:225-231
  11. 문제인, 고은화, 김수영, 황인홍. 상복부 위장 증세를 가진 환자들의 생활사건 스트레스. 가정의학회지 1999;20(6):804-811
  12. 박미정. 자세 관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척추 측만 정도와 자세에 대한 지식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3. 박혜성, 최환석, 염근상, 이병수, 정미룡. 다면적 인성검사(MMPI)로 본 기능성 위장장애 환자의 성격적 특성, 가정의학회지 1997;194:666-676
  14. 석세일. 척추 측만증의 최신지견. 대한의사협회지 1997;40(2):242-252
  15. 안성준. 선천성 척추 측만증의 형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6. 오승길. 요통환자의 의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17. 이병구. 기능성 위장장애. 월간약국 1996;266:56-58
  18. 임인택. 한국 초.중.고 학생의 척추 측만증 유병률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9. 임지혁, 배종면, 최순식, 김성원, 황환식, 허봉렬. 외래용 스트레스 양 측정도구로서 한국어판 BEPSI 설문서(수정판)의 타당성. 가정의학회지 1996;42-53
  20. 최슬기. 기능성 위장장애 환자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및 삶의 질.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1. 최승옥, 권상옥, 이동기, 장우익, 이광훈, 기능성 위장장애의 정신의학적 고찰, 대한의학협회지 1991;34(7):741-749
  22. 황일란, 김진홍, 이광재, 김정민, 함기백, 조성원. 운동장애형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도 식도내압검사 성적. 대한 소화관 운동학회지 1998;4:21-27
  23. Bar- On Z, Ohry A. The acute abdomen in spinal cord injury individuals. Paraplegia 1995;33:704-706 https://doi.org/10.1038/sc.1995.148
  24. Fabio, R. New perspectives on balance. Physical Therphy 1997:77
  25. Ford M.J., Miller P.M., Eastwood Jenney, Eastwood M.A. Life event, psychiatric illness and the irritable bowel syndrome. Gut 1987(28):160-165 https://doi.org/10.1136/gut.28.2.160
  26. Kisner, C., & Colby, L.. A. Therapeutic exercise : foundations and techniques, Philadelphia : Davis 1990
  27. Mark A. Lopes, Gregory Plaugher. Textbook of clinical chiropractic. 푸른의학 1998;303-308
  28. Metzner H.L., Carman W,J., House J. Health practices, risk factors and chronic disease in Teachers. Prevent Med 1983;12:491-507 https://doi.org/10.1016/0091-7435(83)90204-9
  29. Risser, J.C. Scoliosis : past and present. J. Bone and Joint surg 1964;46-A:167-199
  30. Thompson W.G., Heaton K. W. Functional bowel disorder in apparently healthy people. Gastroenterology 1980;79:283-288
  31. Waugh, T.R. Scoliosis, part I. Terminology and classification. Instructional course Lectures. The Americal Academy of orthopedic surgeons 1975;24:5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