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gM, USDA and the National Drought Policy Commission Associated with WAMIS

농업기상웹서버관련 농업기상위원회, 농무성 및 한발정책위원회 현황

  • Motha, Raymond P. (President, CAgM USDA Chief Meteorologist)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Agrometeorological information is essential in many agricultural decisions if it reaches the user in a timely and appropriate manner. Agriculture is the backbone to local, regional, and global economic development. Thus, strengthening agrometeorological application to diverse agricultural sectors will benefit economic development. This paper discusses three distinct organizational minions that all share the same need for improved information technology.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s (WMOs) Commission for Agricultural Meteorology (CAgM) has global responsibility for improved agrometeorological services of Members to aid agricultural production and to conserve natural resources.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World Agricultural Outlook Board, publishes monthly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considered to be a benchmark for both government and industry in production and trade decisions. The National Drought Policy Commission (NDPC), created by an act of the United States Congress, formulated a national drought policy based on preparedness rather than on crisis management. All three organizations recognize the need for IT applications in agricultural meteorology and have been active in implementing this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offers new means of dissemination of agrometeorological products. World Agrometeorological Information Service (WAMIS) has taken advantage of the global Internet application to offer WMO Members a dedicated web server to host agrometeorological bulletins and training modules.

본 논문은 정보기술 향상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는 독특한 세 기구의 임무를 소개한다. 세계기상기구의 농업 기상위원회는 회원국의 농업생산 지원과 자연자원 보전을 위한 농업기상서비스 개선에 대한 전구적인 책임을 지니고 있다. 미국 농무성의 세계농업전망위원회는 매월 전 세계 농업 생산과 수요 예측을 발표하는데, 이는 정부와 산업계에서 생산량과 교역량 결정시 벤치마크로 사용하고 있다. 미국의 하원결의로 조직된 한발정책위원회는 위기 관리보다는 대응책 수립에 주안을 둔 국가 단위 한발정책 수립을 담당하고 있다. 이 세 기구는 모두 농업기상에서의 IT활용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 기술을 보완하는 데 지금까지 적극적인 자세를 취해오고 있다. 농업기상정보는 사용자에게 적시에 적절한 방법으로 전달된다면 여러 가지 농업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이다. 농업은 국지, 지역 및 전구단위 경제발전의 중추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농업분야에서 농업기상 응용물의 활용강화를 통해 다양한 경제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정보기술의 발달은 또한 농업기상 현장활용물의 전달을 위한 새로운 수단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농업기상정보서비스(WAMIS)는 세계기상기구 회원국들에게 농업기상 회보와 훈련기회를 제공하는 농업기상 전용웹서버로 전구 인터넷망의 장점을 이용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Motha, R. P., and T. R. Heddinghaus, 1986: The Joint Agricultural Weather Facility's operational assessment program.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67, 1114-1122
  2. Motha, R. P., 2001: Agrometeorological bulletins: How can we improve them? Proceedings of the Inter-Regional Workshop. 15-19 October 2001, Bridgetown, Barbados
  3. Motha, R. P., 2000: Recommendations on drought monitoring by the U.S. National Drought Policy Commission. Proceedings of Expert Group Meeting on Early-Warning Systems for Drought Preparedness and Drought Management. 5-7 September 2000, Lisbon, Portugal
  4.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03: Basic Documents: No. 15, Geneva, Switzer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