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f Chicken Coccidiosis in Slaughtered Chickens

도계장 출하닭에 대한 구포자충 감염 실태 조사

  • 허정호 (경상남도축산진흥연구소남부지소) ;
  • 정명호 (경상남도축산진흥연구소남부지) ;
  • 김국헌 (경상남도축산진흥연구소남부지) ;
  • 조명희 (경상남도축산진흥연구소남부지) ;
  • 이국천 (경상남도축산진흥연구소남부지) ;
  • 서종립 (경남고성군 축산) ;
  • 김충희 (진주산업대학 동물생명과학) ;
  • 하대식 (경남보건환경연구) ;
  • 류재두 (국립수의과학 검역원 부산지원)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Eimeria infection in 1,300 slaughtered chickens from 130 farms in Gyeongnam, Jeonnam, Jeonbuk, Gyeongbuk and Chungnam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002 to August 2003.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evalence of Eimeria infection in 130 chicken farms was 76.9% and Eimeria infection rates of Gyeongnam, Jeonbuk, Gyeongbuk, Jeonnam and Chungnam were 80%, 75%, 70%, 42.9%, respectively. That of Tongyoung was the highest infection(94.4%) than others districts in the Gyeongnam. 2. The prevalence of oocysts infection level in 1,300 slaughtered chickens from 5 districts was 33.4% and that of Jeonbuk was the highest rate(42%) and Gyeongbuk has the lowest rate(20%). Prevalence of OPG level of slaughtered chicken in Tongyoung was the highest rate(42.8%) in Gyeongnam. 3, Mixed infection rate of over types 2 was 79% and triple infection was shown the highest infection(33%) among the infection types. 4. Kinds of E. spp. were E. acerulina, E. mivati, E. necatrix, E. maxima, and E. tenella. E. tenella has the highest infection rate(78%) and E. necatrix has the lowest infection rate(36%) among the Eimeria spp. 5. The monthly prevalence of Eimeria infection was shown higher in July(94.4%) compared with other months and Jun was shown lower(57.9%). But, level of OPG was shown higher in summer season(July, August; over 40%) than that of winter season(January, February; 23.1%, 16%).

Keywords

References

  1. Bains BS. A guide of poultry disease. Ith ed. Swiss: HoffmanLa- Roche and Co., Ltd. 1989: 171-175
  2. Conway DP. Poultry Coccidia diagnostic and testing procedures. Intemational lnc. New York: Pfizer. 1979: 31-33
  3. Long PL. The biology of Coccidia. Baltimore: University park press. 1982: 375-414
  4. Lyens VR, Mark DL, Levine ND. Principal parasites of domestic animals in the U.S. Urbana Campaign: Illinois State University Press. 1981: 72-114
  5. Sloss MW, Russel L, Kemp AB. Veterinary clinical parasitology. Vet Rec 1983; 5: 109-119
  6. 김기석, 윤희정, 초상호. 닭콕시듐 방제에 관한 연구. 서울: 가축위생연구소 시험사업보고서. 1985: 248-258
  7. 김병기, 장두환. 국내 육계 농장의 콕시디아 오오시스트 오염 실태에 관한 연구. 수원; 서울대학교 수의대 논문집. 1985; 155-167
  8. 김우영. 양계 경영과 사육. 2판. 서울: 오성출판사. 1993; 253-271
  9. 김윤태, 고원석, 이정원, 서이원, 양홍지, 송희종, 오언평. 육계에서 콕시듐증, 가금티푸스 및 전염성 F낭병 혼합감염 발생 예. 전주; 전북 축산진흥연구소 생명공학 및 가축위생 시험연구논문집. 2000; 147-150
  10. 송희종, 최원필, 김순재. 수의전염병학.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1994; 515-520
  11. 수의과학검역원. 국내 닭 콕시듐 원충의 양계장 오염실태 및 항콕시듐 약제감수성 조사. 안양: 안양 가축위생연구소 연구보고서. 1997: 358-362
  12. 양홍지, 윤여백, 박태욱, 김성훈, 최은영, 서창섭. 전북지방 닭의 기생충 감염상황. 한국가축위생 학회지 1993; 16: 82-89
  13. 양홍지. 가축기생충도감. 1판. 서울: 도서출판 샤론. 1998: 132-214
  14. 유종철. 양계질병과 사양관리 분석. 1판. 서울: 인터베트 코리아(주). 2000: 119-123
  15. 윤의정, 노재욱. 국내시판용 항콕시듐제제의 약제효능 재평가.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998; 22: 131-137
  16. 윤의정, 홍기옥, 양창근. 국내 시판용 항콕시듐제제의 약제 효능 재평가, I.치료제용 항콕시듐제제. 서울대학교 수의대논문집 1996; 21: 1-8
  17. 이병도, 문주상. 닭콕시듐의 지역적분포. 안양: 가축위생연구소 연구보고서. 1959; 6: 33-39
  18. 이재구. 최신 수의 기생충학. 1판.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7: 427-473
  19. 장두환. 가축과 가금의 콕시디아 조사. 대한수의학회지 1972; 12: 185-189
  20. 최상호, 김기석, 김용희. 국내 육계의 Coccidia 감염에 관한 역학적 조사 연구. 수원: 농촌진흥연구소 시험연구 사업 보고서. 1984; 26: 44-52
  21. 최상호, 윤희정, 이우용, 김기석, 남궁선. 닭항콕시듐제 내성에 관한 연구. 안양: 가축위생연구소 시험사업보고서. 1987: 196-209
  22. 최상호, 이원창. 국내 육계의 Coccidia 감염에 관한 역학적 조사 연구.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983; 7: 141-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