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배경: 대망의 가장 중요한 성질 중 하나인 혈관 형성 촉진 기능을 이용하여 초냉동 보관된 기관 이식편의 대망 내 이식이 기관 이식편의 생육성이나 혈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8주령의 Sprague Dawley rat 수컷의 초냉동 보관된 기관 이식편을 백서의 복강 내 대망에 이식하였다. 연구군은 냉동 보관기간과 대망 내 이식기간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n=52). 이식된 기관 이식편을 획득하여 기관 평활근 및 주변 결합 조직의 섬유화 및 염증 정도, 기관 연골의 석회화 정도, 기관 내 상피세포의 변화 및 연골간 간격에서의 혈관 형성 정도 등을 검사하였다. 결과: 기관 평활근의 염증 정도는 냉동 보관기간이나 대망 내 이식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기관 연골의 석회화 정도는 냉동 보관기간과 상관없이 대부분 심하게 진행되어 있었다. 혈관 형성은 기관 이식편의 양끝뿐만 아니라 중간 부위에서도 충분히 이루어져 있었다. 결론: 초냉동 보관된 백서의 장분절 기관 이식편을 2주간 대망 내 이식을 시행한 결과 기관 이식편의 조직 생육성이 적절히 유지되면서 새로운 혈관이 형성되었다. 향후 동종 기관 이식 시 초냉동 보관된 기관 이식편을 대망 내 이식하여 새로운 혈관이 형성된 후 단계적으로 기관 이식을 시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 Using the neovascularizing properties of the omentum, we studied the viability and vascularity of the cryopreserved rat tracheal allografts with omental implantation. Material and Method: The cryopreserved tracheal allografts of eight-week old 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implanted into the omentum.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e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cryopreservation and of omental implantation. We examined the tracheal allografts histologically for viability of cartilages, inflammation and fibrosis of smooth muscle and connective tissue, and degree of vascularity. Result: The degree of inflammation in the smooth muscle and the connective tissue of the tracheal allografts was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neither the duration of cryopreservation or of omental implantation. The tracheal cartilages of the tracheal allografts were found to be severely calcified in all cases. Significant difference in vascularity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I and II (p < 0.05). And a sufficient vascularity in the intercartilaginous space was observed in the mid portion of the tracheal allografts as well as both ends.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omental implantation for 2 weeks could establish a sufficient vascularity in the intercartilaginous spaces for maintaining the viability of the tracheal allografts. This study might provide a possibility of the sequential tracheal allotransplantation after omental impla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