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 지역의 효율적 자원관리의 방향 -남덕유산∼소사고개 구간을 중심으로-

An Approach for Effective Resource Management in Baekdudaegan -A Case Study in Namdeogyusan∼Sosagogae Area-

  • 유기준 (상지대학교 경상대학 관광학부) ;
  • 권태호 (대구대학교 산림자원학) ;
  • 최송현 (밀양대학교 조경학과)
  • 발행 : 2004.06.01

초록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근간 축을 이루며 한민족의 상징성을 지닌 지역으로 총 연장 약 1,600km. 해발 100m부터 2,750m로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백두대간은 산자분수령의 기본 개념에 따라 우리 땅의 골간을 이루는 한반도의 중심 산줄기이다. 또한 남과 북이 하나의 대간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상징적인 지리인식체계에 바탕을 두고 있다. 백두대간의 생태계는 우리나라 생물 다양성을 대표하는 자연환경 지역으로서 자원보전적 가치와 함께 입지 및 자원특성에 기인한 다양한 자원이용 환경도 존재한다. (중략)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익수(1999) 한국 담수산 골표상목과 극기상목 어류의 분류. 전북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생물학분과 생물학연구연감 8: 83-173
  2. 산림청,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연구보고서
  3. 산립청, 임엽연구원(1997) 회귀 및 멸종위기 식물도감
  4. 산림청 임업연구원(2001)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을 위한 기초조사 및 현지 확인조사결과
  5. 산림청 (2001)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보전 및 훼손지 복원 방안 조사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연구보고서
  6. 산림청 (2002)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조사 및 관리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연구보고서
  7. 산림청(2003)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 및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연구보고서
  8. 양보경 (2002) 전통적인 산지관. 대한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요약집,1-6쪽
  9. 환경부(2001)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관리범위 설정을 중심으로(1차 연도 보고서).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10. 환경부(2002) 백두대간의 표율적 관리방안 연구. 관리방안 수립을 중심으로(2차 연도 보고서).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