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omoting Utilizing by Evaluation of the Visitor Center Functions in the National Parks, Korea -Based on McManus's Communication Theory-

국립공원 탐방안내소 기능평가를 통한 이용활성화 방안 연구 -McManus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 Oh, Kang-Im (Dept. of Environment and Ecology,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
  • Cho, Woo (Division of Tourism, Sangji Univ.) ;
  • Lee, Kyeong-Jae (School of Architecture, Urban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Univ. of Seoul)
  • 오강임 (인천발전연구원 환경생태연구실) ;
  • 조우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조경학부)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the effective use of national park visitor centers, by evaluating their functionality. Visitor centers in Naejangsan National Park and Pukhansan National Park, which are deliberately composed and managed, were investigated for this purpose. First, I clarified the concept, function and type of a visitor center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n, analyzed visitors' post-visiting evaluation based on McManus's Communication Theor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s that visitors have not enough time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visitor centers, and facilities and guide sign system to support visitors are insufficient, which seem to disturb the proper communication between visitors and exhibits. Visitors' short visiting time caused by their little interest in exhibits and their low degree of understanding show the difficulties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visitors and exhibits. The following alternative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se problems: first, the improvement of the guide sign system; second, the provision of exhibition rooms specialized for different visitor groups; third, the display of exhibits connected with visitors' experiences; Forth, the utilization of various media proper for each subje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대표적 자연해설시설인 탐방안내소 중 계획에 의해 조성ㆍ운영중인 내장산국립공원 내장사지구 탐방안내소와 북한산국립공원 정릉지구 탐방안내소를 대상으로 기능평가를 통한 이용활성화 방안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외의 문헌연구를 통해 탐방안내소의 개념 및 기능, 유형 등을 파악하고 McManus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탐방객에 의한 이용 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총 5단계에 걸친 평가 결과 탐방안내소 이용자들은 탐방안내소를 이해하기 위한 충분한 관람시간을 갖지 못하였으며 편의시설과 안내시스템의 부족으로 올바른 이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전시내용에 대한 관람성향과 전시 내용의 이해도 부문 역시 전시물과 탐방객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문제점들의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탐방안내소 홍보 및 안내사인 보완 둘째, 다양한 계층을 고려한 전시관별 특성화와 차별화 된 전시연출 셋째, 각 전시내용들이 각 탐방객들의 사회적 경험과 연관되도록 하며 넷째, 전시주제에 맞는 전시매체의 적극적 활용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1998) 국립공원 30년사, 899쪽
  2. 민성환(1998) 자연관찰센타 및 자연관찰로 조성계획-경기도 수리산 군포시험립을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2쪽
  3. 이경재(2002) 21세기에 걸맞는 국립공원 탐방시설의 조성. 운영. 국립공원관리공단 계간지 제 29호. 10-13쪽
  4. 이주회(1996) 국립공원의 환경해설 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방문객센터 계획과 규모. 국립공원 관리공단 계간지 제7호. 103-109쪽
  5. 조융주(2001) 내장산국립공원 탐방안내소의 개선방안 - 탐방객의 이용행태분석 및 중요도-만족도 분석기법의 적용-.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3쪽
  6. 최석기(1998) 박물관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증대 방안에 관한 연구 -국립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2쪽
  7. Miles, R. S. (1982) The Design of Educational Exhibitions, Unwin Hyman, Londen, 102pp
  8. McManus, P. M.(1991) 'Marking sense of exhibits· , in Kavanagh, G. (ed,) Museum Languages: Objects and Texts, Leicester University Press, London and New York, pp.3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