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study we propose that the ‘enclaves’ which occur in the granites should be translated into ‘Po-yu-am’in Korean. Also we suggest some criteria to discriminate the mafic microgranular enclaves (MME) of igneous origin from the xenoliths, which possibly come from the plutonic, volcanic and sedimentary country rocks. The color of the MME is gray green∼dark gray and the mineral grains are fine and equigranular. The MME are generally of ellipsoidal shape and can be easily found within the granites. They do not show any evidence of contact metamorphism by granite host. On the other hand. the xenoliths are generally of angular shape and are of the same mineral assemblage and texture as the country rocks around the granites. The distribution of the xenoliths is mostly concentrated along the intruding plane of the granites near the country rocks. The xenoliths were partly metamorphosed by the granite intrusion. The xenoliths from the plutonic rocks are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MME in terms of their angular shape and coarser grain size, but they do not have any metamorphic mineral assemblage and texture. The xenoliths from the tuffaceous rocks show angular shape and porphyritic and pyroclastic textures. Large size xenoliths from the sedimentary rocks specifically preserve bedding structure which are indicative of the sedimentary strata. However, the sedimentary xenoliths of small size are often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the MME. Metamorphic minerals and texture are a useful key to discriminate the small-sized sedimentary xenoliths from the MME. In summary the xenoliths in the granites can be megascopic ally distinguished from the MME by comparing their color, shape, grain size and remnant original structure like bedding. Additionally the metamorphic mineral assemblage and texture are microscopic discriminators between the xenoliths and the MME in the granites.
이 연구에서는 화강암 내에 산출되는‘엔클레이브’를 ‘포유암’으로 번역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경상분지 화강암 내에 산출되는 심성암, 화산암, 퇴적암의 포획암과 염기성 미립 포유암의 암석기재학적 연구를 통하여 포유암의 종류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염기성 미립 포유암의 색깔은 짙은 회록색-암회색으로 입자크기는 세립의 등립질이며, 외형은 대체로 타원형이 우세하고, 분포는 화강암체의 전반에 분포하며, 접촉변성작용의 흔적이 관찰되지 않는다. 그러나 포획암은 각진 형태가 보편적이며, 주변에 포획암의 모암이 존재하고, 관입접촉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접촉변성작용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심성암의 포획암인 경우에는 야외에서 각진 외형, 조립의 입자크기 등에서 염기성 미립 포유암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경하관찰에 의하면 접촉변성 작용의 흔적이 관찰되지 않는다. 그리고 응회암의 포획암인 경우에도 야외에서 각진 외형과 반상조직을 보이고, 경하에서 화산쇄설암의 조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한편, 퇴적암의 포획암인 경우에는, 포획암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화강암이 층리면을 따라 주입되어 층리가 남아 있는 경우가 많으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염기성 미립 포유암과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경하관찰에 의하면, 접촉변성작용에 의한 변성광물의 출현과 더불어 퇴적암의 조직이 날아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포획암은 일반적으로 색깔, 외형, 입자크기, 구조 등으로부터 야외에서 염기성 미립 포유암과 쉽게 구별이 가능하며, 작은 크기의 퇴적암인 경우에는 변성광물 조합과 조직의 현미경관찰로 염기성 미립 포유암과 구별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