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 Proper Application for The Navigational Rules in The Public Order in Open Port Act

개항질서법상 항법적용

  • 지상원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수송과학부)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When sea going vessel approaches her destination port, marine traffic density is increased, especially, the marine traffic is concentrated in the entrance channel and the fairway in the inner harbour is more narrow. Therefore, special navigational rules for preventing collision at sea is needed in the inner harbour. Hence there are the rules in The Public Order in Open Port Act in Korea But, in the case of conflict of navigational rule concerned, it is possible to be raised a question that which rule shall be applied preferentially. Al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xact meaning of the navigational rules in The Public Order in Open Port Act. Because the misunderstanding of the rule is caused the collisio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exact meaning of the navigational rule concerned in the view of legal basis and suggest the principles for a proper application of it.

해항선이 목적항에 접근하게 되면, 교통량은 증가하고, 특히, 항만입구에는 해상교통이 집중하면 항내 항로는 더욱 좁아진다. 따라서 기안에는 선박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항법규정이 필요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개항질서법에 이들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러나 관련 항법규정이 서로 충돌하는 경우, 어느 것을 우선 적용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와 그 규정의 정확한 의미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관련 항법의 해석과 적용에 대한 오해는 선박충돌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개항질서법상 항법 규정에 관하여 법해석학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통하여 올바른 항법적용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동 (2002.), '개항질서법 제13조와 제14조의 마주칠 우려라는 문구는 개정되어야 한다'(해양안전, 2002년여름호)
  2. 김인현 (2003), 해상교통법, 서울, 삼우사
  3. 민성규 . 임동철(1984), 새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 한국해양대학 해사도서출판부
  4. 박용섭 (1992), 해상교통법론, 서울,형설출판사
  5. 해양수산부 . 중앙해양안전섬판원, 해양안전심판사례집 (1993, 2003).,
  6. 海上쏘通法令{와究會(1981). 港則法の 解說, 東京, 海文堂出版妹式會社
  7. A.N.Cockcroft and J.N.F. Lameijer(1982), A Guide to the Collision Avoidance Rules, 3rd ed., London, Stanford Maritime
  8. Christopher HiIl(1998), Maritime Law 5th.Ed., London, LLP Limited.
  9. Samir Mankabady(1978), Collision At Sea(Amsterdam: North-Holland Publishing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