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lora of Mt. Bakdal in Chungcheongbuk-do, Korea

충청북도 박달산 일대의 식물상

  • Yoo, Ju (Chungcheongbuk-do Research Center for Wild Plants) ;
  • Jin, Yeon-Hee (Chungcheongbuk-do Research Center for Wild Plants) ;
  • Jang, Hye-Won (Chungcheongbuk-do Research Center for Wild Plants) ;
  • Cho, Heung-Won (Chungcheongbuk-do Research Center for Wild Plants) ;
  • Lee, Dong-Woo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
  • Yoon, Hee-Bin (Chungcheonbuk-do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
  • Lee, Chul-Hee (Department of Horticultur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유주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 진연희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 장혜원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 조흥원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 이동우 (원예연구소) ;
  • 윤희빈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
  • 이철희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arried out accurately to grasp the vascular plants in Mt. Bakdal (825 m of sea level), Goesan-gun, Chungcheongbuk-do. In the results of survey from October, 2000 to August, 2001, the vascular plant species in Mt. Bakdal were summarized as 458 taxa; 91 families, 275 genera, 391 species, 62 varieties and 5 forms.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ry Service were six species; Lilium distichum, Iris uniflora var. carisina, Hylomecon hylomeconoides, Viola albida, Scopolia japonicus and Scrophularia koraiensis. And the endemic plants were seventeen species; Melandryum seoulense,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Hylomecon hylomeconoides,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Rubus hongnoensis,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Lespedeza ${\times}$ tomentella, Vicia venosa var. cuspidata, Vicia venosissima, Tilia taquetii, Ajuga spectabilis, Paulownia coreana, Scrophularia koraiensis, Weigela subsessilis, Lonicera subsessilis, Cirsium setidens and Saussurea seoulensis. The sixteen species were recorded in the surveyed sites as the naturalized plants; Rumex acetocella, Rumex crispus, Fallopia dumetora, Chenopodium glaucum, Amaranthus retroflexus, Robinia pseudo-acacia, Amorpha fruticosa, Trifolium repens, Abutilon avicennae, Hibiscus trionum, Oenothera odorata, Oenothera lamarckiana, Erigeron annuus, Erigeron canadensis, Bidens frondosa and Carduus crispus.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 괴산군에 위치한 박달산(825 m)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2000년 10월부터 2001년 8월에 걸쳐 조사한 결과 91과 275속 391종 62변종 5품종 등 458종류가 확인되었다. 희귀 및 멸종위기 종은 말나리 , 난장이붓꽃, 매미꽃, 태백제비꽃, 미치광이 풀, 토현삼 등 총 6종류가 조사되었고 특산식물은 가는 장구채, 진범, 매미꽃, 조팝나무, 가시딸기, 주엽 나무, 털조록싸리, 광릉갈퀴, 노랑갈퀴, 뽕잎피나무, 자란초, 오동, 토현삼, 병꽃나무, 청괴불나무, 고려 엉겅퀴, 분취 등 17종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은 애기수영, 소리쟁이, 닭의덩굴, 취명아주, 털비름, 아까시나무, 족제비싸리, 토끼풀, 어저귀, 수박풀, 달맞이꽃, 큰달맞이꽃, 개망초, 망초, 미국가막사리, 지느러미엉겅퀴 등 16종류가 관찰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잡초학회지 v.2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발생상황 강병화;심상인
  2. 한국의 야생식물 고경식;전의식
  3. 서울대학교 수목원 연구보고 v.15 우리나라의 희귀 및 멸조위기식물의 보전을 위한 복원계획의 필요성 김용식;이유미;전승훈;전정일;김선희
  4. 백두대간의 고남산과 시리봉일대의 관속식물상 v.16 김용식;임동옥;오현경;고명희
  5. 한국식물분류학회지 v.29 특산물의 현황과 21세기 우리의 책무 백원기
  6. 산림유전 자원에 관한 심포지엄논문집 한국특산식물의 현황과 보존 백원기
  7. 산주를 위한 새로운 임업기술 산림청
  8.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산림청
  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11 명지산의 식물상 및 희귀 식물 이유미;김성식
  10. 한국환경생태 학회지 v.16 no.1 경기도 축령산과 서리산 일대의 식물상 이유미;김성식;조동광;정승선
  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13 한국 특산 히어리 군락의 식생구조와 맹아지동태 이정환;강호철;안현철;조현서
  1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3. 관악수목원 연구보고 v.4 우리나라 특산식물과 분포 이창복
  14. 한국식물분류학회지 v.22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임양재;전의식
  15. 자연환경 보전을 위한 통합평가모형 -내셔널 트러스트 호보지선정을 중심으로- v.12 정성관;유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