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Ship′s Digital ECG and Stethoscope Based on PC

PC를 기반으로 한 선박용 디지털 심전도 및 청진기 개발

  • Lee, Geun-Sil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University, Division of Ship Operation Systems Engineering) ;
  • Moon, Serng-Bae (Training Ship of HANBADA, Korea Maritime University)
  • 이근실 (한국해양대학교 운항시스템공학과 대학원) ;
  • 문성배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
  • Published : 2004.04.01

Abstract

Electrocardiogram and phonocardiogram acquired from ECG and stethoscope by a non-invasive method are bio-signals which laue been a great role in patients diagnosis and used extensively by doctors. And these are mainly used at the examination room or first-and room of hospital. When the patients are located at some places far away from hospital like a car, an airplane and a vessel under way,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confirming their cardiac sound Especially the patient of ocean going vessel might not have a medical treatment from the professional doctor at times. In this paper, we developed the digital ECG and stethoscope system based on personal computer which can easily measure the patient's cardiac sound and ECG signal, and this might shorten the appearance of the remote maritime telemedicine.

심전도 측정기와 청진기를 통하여 획득된 심전도와 심음도는 비관혈적 방법으로 환자를 진단할 수 있는 생체신호이며, 의사들의 진단도구로 널리 이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의사들이 심전도 측정기나 청진기를 이용하여 환자를 진단하는 장소는 병원 내 진료실과 응급실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병원에서 거리가 먼 원거리 지역이나 자동차, 비행기, 선박에서는 환자의 심음을 확인할 수 없다. 특히, 원양항해에 종사하는 선박 환자는 전문 의료진으로부터 진료를 받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환자의 심음 및 심전을 용이하게 측정함으로써 PC기반의 선박용 디지털 심전도 및 청진기를 개발하였으며, 해상 원격진료의 출현을 앞 당길 수 있으리라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한우, 김민기, 김선일, 김희찬, 박승훈, 우응제, 윤영로, 윤형로, 이경중, 이수열, 임재중, 조민형 (1997), '디지털생체 신호처리', 여문각
  2. 대한의료정보학회(1999), ' 보건의료정보학', 현문사
  3. 백승화, 강성훈(1997), '웨이브렛을 이용한 심음의 검출 및 분류', Journal of the Natural Science, Vol. 16, pp. 122-199
  4. 박흥을, 최명진(1999), '청진기 Chestpiece의 음향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산학협력기술연구논문집, 제5집, pp.26-31
  5. 이근실, 전승환(2003), '인터넷 기반의 선박 의약품관리시스템 개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7권, pp.19-24 https://doi.org/10.5394/KINPR.2003.27.1.019
  6. 조명찬, 김기석, 배장환, 연태진, 김동운, 이태수, 전은석, 김유진(2001), '심전도의 디지털 기록화 모듈과 개인용컴퓨터 저장/분석시스템의 개발', 충북의대 학술지, Vol.2, pp.96-104
  7. Jacobson, B. and Webster, J. G.(1977), 'Medicine and Clinical Engineering', Prentice-Hall
  8. Murakami, H., Shimizu, K., Yamamoto, K., Mikami, T., Hoshimiya, N. and Kondo, K. (994), ' Telemedicine Using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IEEE TRANSACTION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 41, pp.488-497 https://doi.org/10.1109/10.293224
  9. Carr, J. J. and Brown, J. M.(1993), 'Introduction to Biomedical Equipment Technology', Prentice-Hall
  10. Hall, L. T., Maple, J. L., Agzarian, J. and Abbott, D.(2000). 'Sensor system for heart sound biomonitor', Microelectronics Journal, Vol. 31, pp.583-592 https://doi.org/10.1016/S0026-2692(00)00033-1
  11. Messer, S. R, Agzarian, J. and Abbott, D.(2001), 'Optimal wavelet denoising for phonocardiograms', Microelectronics Journal, Vol. 32, pp.931-941 https://doi.org/10.1016/S0026-2692(01)00095-7
  12. Olmez, T. and Dokur, 2,(2003), 'Classification of heart sounds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Pattern Recognition Letters, 24, pp.617-629 https://doi.org/10.1016/S0167-8655(02)002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