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AD Analysis on Storm Movement

호우이동을 고려한 DAD 분석방법

  •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 원유승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Published : 2004.05.01

Abstract

The traditional fixed areal DAD(rainfall Depth-Area-Duration) method, generally quoted in most hydrology texts, is a simple and useful procedure when watersheds are small and storm movement is not an important factor of consider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obtain satisfactory results for the more apparent forms of storm movement such as typhoons, or for large watershed. In the latter case, especially the margin of error for the areal average rainfall increases proportionally to the area of study, causing biased result.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storm-centered DAD analysis(moving area DAD method) developed and programmed by the isohyetal concept to obtain accurate and objective resul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observed rainfall rates through both method, it was proved that the currently Proposed method more accurately reflected the average rainfall rate. In short, through this new method, approximately 130 storm events nationwide from 1969 to 1999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fixed areal method results.

수문학 교과서를 통해 널리 알려진 기존의 유역중심 DAD 분석방법은 유역면적이 작거나 호우이동이 거의 없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계산이 비교적 간단하다. 그러나, 태풍과 같이 호우이동이 뚜렷한 경우에는 DAD 관계를 명확히 표현하기 어려우며, 특히 유역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면적강우량의 오차도 증가하므로, 분석자의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역중심 DAD 분석방법의 단점을 보완코저 호우중실 DAD 분석방법을 개발하였고, 객관적인 DAD 분석결과를 얻기 위해 이를 프로그램화하였다. 관측강우량을 이용하여 기존의 방법과 비교ㆍ검토를 수행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평균면적강우량을 보다 적절하게 표현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전국단위 호우분석(1969년부터 1999년까지 약 130여개 호우)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유역중심 DAD 분석결과와 비교ㆍ검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0), 한국의 주요 호우,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연구개발조사 보고서 제2권 별책 제2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 건설부(1988). 한국 가능최대강수량추정, 수자원관리기법 연구개발 보고서 제3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 건설부(1993), 국제수문개발계획(IHP) 대표유역연구조사 보고서
  4. 김남원(1998). 강우의 시${\cdot}$공간 분포특성:점 강우모형 매개변수 추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책임연구과제 보고서, 건기연 98-155
  5. 선우중호(1983). 수문학, 동명사
  6. 이광호(1976), '낙동강유역의 최대 DAD에 관하여', 한국수문학회지, Vol. 7, No. 2, pp. 92-98
  7. 이순탁, 박정규(1986), '하천유역의 설계 홍수량 결정을 위한 PMP의 산정 및 적용', 한국수문학회지, 제19권, 제1호, pp. 75-86
  8. 윤용남(1986). 공업수문학, 청문각
  9. 조희구(1970). '우리나라 호우의 최대 DAD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Vol. 6, No. 2, pp. 79-82
  10. 조희구(1972). '최대홍수량의 산정에 있어 수문기상학적 고찰', 한국수문학회지, Vol. 5, No. 1, pp. 18-26
  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1). 면적우량과 우량의 공간변화 해석-면적우량 환산계수를 중심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보고서, 건기연 91-WR-113
  12. Arnell, V., Harremoes, P., Jensen, M., Johansen, N. B. and Niemczynowiz, J.(1984). 'Review of Rainfall Data Application for Design and Analysis', Water Science Tech., Copenhagen, Vol. 16, pp. 1-45
  13. Firmin, J. O.(1988). Contouring on The Sun Workstation, Department of Oceanography, University of Hawaii
  14. Gray, D. M.(Editor)(1973). Handbook on The Principles of Hydrology, Water Information Center Publication, The North Shore Atrium
  15. Gupta(1989). Hydrology and Hydraulic Systems, Waveland Press, Inc., New Jersey
  16. WMO(1969). Manual for Depth-Area-Duration Analysis of Storm Precipitation, WMO No. 237, Technical Paper 129, Geneva
  17. WMO(1986). Manual for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Second Edition, WMO, Operational Hydrology Report No, 1, Geneva, Siwitzerland

Cited by

  1. DAD Analysis of Yongdam Dam Watershed Using the Cell-Based Automatic Rainfall Field Tracking Methods vol.17, pp.3,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3.068
  2. Prediction of a Debris Flow Flooding Caused by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vol.48, pp.2, 2015, https://doi.org/10.3741/JKWRA.2015.48.2.115
  3. Development of Basin-scale PMP Estimation Method by considering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vol.16, pp.1, 2016, https://doi.org/10.9798/KOSHAM.2016.16.1.51
  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utomatic Rainfall Field Tracking Methods for Depth-Area-Duration Analysis vol.47, pp.4, 2014, https://doi.org/10.3741/JKWRA.2014.47.4.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