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20세기 우리나라 관측최대강수량의 특성

Maximum Areal Rainfall of Korea in the 20th Century

  •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 연구부) ;
  • 원유승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 연구부)
  • 발행 : 2004.05.01

초록

수자원분야에서 관측최대강수량은 주로 지점최대 강수량에 의해 평가되어 왔으나, 엄밀한 의미에서 강수량이라 함은 면적평균강수량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면적평균강수량은 관측호우의 DAD(rainfall Depth-Area-Duration) 분석을 통하여 계산된 추정치이고, 이로부터 대상면적-지속기간별 면적평균강수량 또는 최대관측강수량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을 수문학적으로 동질하다고 가정하여 호우중심의 DAD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면적-지속기간별 최대관측강수량의 연도별 변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면적-지속기간별고 구성된 시계열로부터 확률강수량을 산정하여, 면적별 IDF와 관측치대강수량의 특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Mainly, observed maximum rainfall has been evaluated by point rainfall, but actually it should be considered by means of average areal rainfall. Average areal rainfall is an estimated value computed through DAD(rainfall Depth-Area-Duration) analysis. By using this value, an average and maximum areal rainfall according to area-duration relationship could be computed. In this study, we assume that the whole Korea region is hydrologically homogeneous, and then analyze using the storm-centered DAD(moving-area DAD) method for the past century data. From this analysis, we evaluate the yearly variation of observed maximum areal rainfall through area-duration relationship. And we also construct an IDF(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 by using the annual time series data which is composed of maximum areal rainfall. The characteristics of IDF and observed maximum areal rainfall is also evalua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0), 한국의 주요 호우, 1999년도 수자원 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보고서 제2권, 별책 제 1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 건설교통부(2000). 한국 가능최대강수량 추정,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보고서 제2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 건설교통부(2000), 한국 확률강수량도 작성,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보고서 제1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 건설부(1988), 한국 가능최대강수량추정, 수자원관리기법연구개발보고서 제3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5. 기상청(1999), 자기우량기록지, 기상년보, 기상월보(관측년수~1999), 기상청 기후국 자료과, 서울
  6. 김규호, 김양수, 이진원, 김승(1988), 고정시간 간격과 임의의 지속시간 최대우량간의 환산계수, 1988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개요집, pp. 216-219
  7. 김남원(1998), 수문관측현황과 개선방향-수위, 우량관측을 중심으로, 건설기술정보지 7월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p. 9-15
  8. 김남원, 원유승(2004), 호우이동을 고려한 DAD 분석방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 37, No. 5, pp. 437-448
  9. 김남원, 최한규(1995) 강우빈도분석시 내${\cdot}$외삽 오차에 대한 고찰, 대한토목학회학술발표회 논문집, pp. 29-32
  10. 김승, 정성원, 김현준(1993), 기후변화가 수문과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심포지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p. 79-102
  11. 김승(1994), 우리나라 강수의 장기변동 특성 분석,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연구보고서, pp. 8-1~8-105
  12. 노재식, 이원환, 이길춘(1986), 우리나라의 최대가강수량 빈도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문학회지, Vol. 19, No. 3, pp. 249-257
  13. 선우중호(1983), 수문학, 동명사
  14. 윤용남(1997), 공업수문학, 청문각
  15. 윤태훈(1997), 응용수문학, 청문각
  16. 이광호(1976), 낙동강유역의 최대 DAD에 관한여, Vol. 7, No. 2, pp. 92-98
  17. 이순탁, 박정규(1986), 하천유역의 설계 홍수량 결정을 위한 PMP의 산정 및 적용, 한국수문학회지, 제 19권, 제1호, pp. 75-86
  18. 조희구(1970), 우리나라의 호우의 최대 DAD분석, 한국기상학회지, Vol. 6, No. 2, pp. 79-82
  19. 허준행, 김경덕, 한정훈(1999), 지속기간별 강우자료의 적정분포형 선정을 통한 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 32, No. 3, pp. 247-254
  20. Gray, D. M.(Editor)(1973), Handbook on The Principles of Hydrology, Water Information Center Publication, North Shore Atrium
  21. Hosking, J. R. M.(1990), L-moment:Analysis and eatimation of distributions using linear combinations of order statistics,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52, pp. 105-124
  22. Hosking, J. R. M. and Wallis, J. R. (1993), Some Statistics Useful in Regional Frequency Analysi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9, No. 2, pp. 271-281 https://doi.org/10.1029/92WR01980
  23. WMO(1986), Manual for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Second Edition,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Operational Hydrology Report No. 1, Geneva, Switzerland
  24. WMO(1989), Statistical Distribution for Flood Frequency Analysis,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Operational Hydrology Report No.33(WMO-No.718),Geneva, Switzer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