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존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유효저수량의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ive Storage of Existing Agricultural Reservoir

  • 안태진 (한경대학교 토목공학과) ;
  • 조동호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수자원) ;
  • 이상호 (부경대학교 토목공학) ;
  • 최계윤 (인천대학교 토목환경시스템공학) ;
  • 윤용남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발행 : 2004.05.01

초록

농업용 저수지의 유효저수량은 물수지 분석을 근거고 한 저수지 모의 운영을 통하여 결정하고 있다. 유역은 유출량에 관하여 고유한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저수지에서 유효저수량의 결정은 유역으로부터의 유출량을 근거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유출량을 근거로 한 추계학적 선형계획모형을 정립하고 저수지의 유효저수량을 분석하였다. 선형계획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분석에 있어서 선형결정법칙은 Chance-constrained model과 함께 된 석년수와 관계없이 제약조건식을 줄이는데 기여한다. 경기도 안성시에 소재하고 있는 금광저수지를 대상저수지고 선정하여 유효저수량을 분석한 결과, 추계학적 선형계획모형에 의한 유효저수량은 물수지 분석에 의한 것 보다 크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선형계획모형에 의하여 적정한 유효저수량을 결정하고, 저수지 모의운영을 통하여 결정된 유효저수량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ive storage in agricultural reservoir has been determined through the reservoir simulation operation based on the water budget analysis. Since each watershed has the native property for runoff, considering the runoff yielding from the basin is feasible to the determination of reservoir effective storage. In this study the stochastic linear programming model considering mainly runoff from watershed has been also formulated to analyze the effective storage of the exiting reservoir. The linear decision rule coupled with chance-constrained model in the linear programming model contributes to reduce the size of linear program model without considering the period of analysis. The Geum-Gang reservoir located in Ansung have been adopted to evaluate the effective storage. It has been shown that the effective storage based on the linear programming model is greater than that based on the water budget analysis. It has been also desired that once the effective storage is obtained through the linear programming model, operation of the reservoir should be performed to check the designed capac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과학기술부 (2003a).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 기술개발사업, 지속가능한 댐개발 기술(2차년도연구보고서), 고려대학교
  2. 과학기술부 (2003b).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 기술개발사업, 지속가능한 하천수개발 기술(최종보고서), 인하대학교
  3. 김태철, 노재경, 박승기(1992). 관개저수지의 이수관리방법,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34권 제1호, pp. 33-40
  4. 농림부(1989).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계획설계기준, 콘크리트댐편
  5. 농림부(2002).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계획설계기준, 필댐편
  6. 농업기반공사(2000). Hydrologic Operation Model for Water Resources, HOMWRS
  7. 농업기반공사 안성지부 (1990-2002)
  8. 수해방지대책기획단 (2003). 범 정부차원의 수해방지 대책
  9. 안승섭, 장인수, 이수식 (1997). '소규모 저수지의 최적용수 공급능력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39권, 제5호, pp. 109-122
  10. Charles Revelle, Erhard Joeres, and Williom Kirby (1969). 'The Linear decision rule in reservoir management and desig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5, No. 4, pp. 767-777
  11. Loucks, Daniel P. and Philip J. Dorfman (1975). 'An Evaluation of some linear decision rules in chance-constrainde models for reservoir planning and oper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1, No. 6, pp. 777-782 https://doi.org/10.1029/WR011i006p00777
  12. Loucks, Daniel P., Jery R. Stedinger, and Douglas A. Haith (1981). Water resource system planning and analysis. Prentice-Hall, N. J. 1981
  13. Mays, L. W. and Y. K. Tung (1992). Hydrosystems Engineering Management. McGraw-Hill, Inc.
  14. Yen, W. W-G (1985). 'Reservoir management and operations models:A State-of-the-Art Review.'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1, No. 12, pp. 1797-1818 https://doi.org/10.1029/WR021i012p01797

피인용 문헌

  1. Estimating Vulnerable Duration for Irrigation with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Demand during Residual Periods vol.54, pp.5, 2012, https://doi.org/10.5389/KSAE.2012.54.5.123
  2. Assessing the Climate Change Impacts on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the SWAT model and CMIP5 GCMs vol.57, pp.5, 2015, https://doi.org/10.5389/KSAE.2015.57.5.001
  3. Vulnerability Assessment of Water Supply in Agricultural Reservoir Utilizing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Reliability Analysis Methods vol.54, pp.2, 2012, https://doi.org/10.5389/KSAE.2012.54.2.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