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and Safety of Replacement Therapy for PMS〔post-Premenopausal Syndrome〕

PMS 〔post-/Premenopausal Syndrome〕 여성에 대한 대체요법의 유효성 및 안전성

  • 이득주 (삼성제일병원 가정의학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
  • 홍억기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 김재수 (㈜내츄럴엔도텍) ;
  • 조한성 (㈜내츄럴엔도텍) ;
  • 한인권 (삼성제일병원 내분비내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tromon including FGF271 (Female Growth Factor 271) which was developed as a phytoestrogen for post- and pre-menopausal syndrome (PMS). The oral administration of two capsules of Estromon twice a day for 3 months significantly improved PMS (Post-/Premenopausal Syndrome) about 5 times more than placebo group (OR=5.04, 95% C.1. 1.40-18.14). In the group of 24 patients having taken Estromon, the concentration of alkaline phosphatase asn the bone marker decreased by -9.3${\pm}$9.5 IU/L after 3 months with a statistic significance. Since the concentration of osteocalcin as the other bone marker also decreased in more patients in Estromon group than in placebo group, the bone density might be expected to be improved in long-term treatment. Serum human growth hormone level increased in 17 out of 24 patients. Triglycerides decreased by -8.0${\pm}$40 (mg%) after 1 month and by -4.4${\pm}$36 (mg%) after 3 months in Estomon group while triglycerides increased in both cases in placebo group (p.0.01). Therefore, PMS patients might benefit from Estromon as a phytoestrogen supplement without any serious side effects.

폐경 전후 여성에서의 갱년기 증상 등은 흔하게 발생되는 문제이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오랜 기간 동안 여성 호르몬 대체요법이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여성호르몬 대체 요법에 따른 유방암 및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로, 자연 여성호르몬 대체요법의 사용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자연 생약 추출물이 갱년기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복합 자연 요법의 유용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시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기초적인 신체 특성과 혈중 호르몬 수치, 골대사지표, 그리고 혈중 지질은 차이가 없었다. 성장호르몬 수치로서 IGF-1 혈중농도가 실험군에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연구시점에 갱년기증상을 가지고 있었던 대상자중 실험군에서는 57.1%, 대조군에서는 16.7%에서 증상이 개선되었으며 (OR=6.67, 95% C.I.0.49-91.33), 연구 개시점에는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는 않았으나 연구 종료 시점에서 이전에 비해 개선된 효과를 보였다고 대답한 대상자는 실험군에서 58.3%, 대조군에서는 21.7%로서 실험군에서 개선된 비율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OR=5.04, 95% C.I. 1.40-18.14). 치료 후 3개월에 시행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체질량지수, 혈압, 혈중, E2, FSH, Osteocalcin, Total cholesterol, LDL, HDL, TG 등은 연구개시점과 연구종료 시점 사이에서의 평균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골생성 지표인 혈중 ALKP는 시험제 투여 3개월 이후 실험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여 1년 후 골밀도의 상승효과가 기대되었다(p<0.01). 혈중 중성지방 (TG)은 시험제 투여 1개월 후 대조군에서는 투여전 대비 26.9$\pm$62 (mg%) 증가하였고, 3개월 후 12.852 (mg%) 증가하였으나, 실험군에서는 1개월후 -8.040 (mg%) 감소하였고, 3개월 후 -4.436 (mg%)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Student t-test). 시험제 3개월 치료 후 실험군의 체중,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p>0.05). 연구시점에 고혈압 상태였으나 시험 제 투여 3개월 후 정상혈압으로 판정 된 사람의 비율은 실험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더 많았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p>0.05).

Keywords

References

  1. ACPE Program No. 430-000-99-004-H01, US Pharmacist The new science of estrogen receptors U.S. Pharmacist Continuing Education
  2. Am. J. Obstet. Gynecol. v.168 Impact of Climactric on well being. Asurvey based on 5213 women 39 to 60 years old Oldenhave,A.;L.J.Jaszmann;A.A.Haspels;W.T.Everaerd https://doi.org/10.1016/S0002-9378(12)90817-0
  3. Osteoporosis Int. v.2 Targeted estrogen/progestogen replacement therapy for osteoporosis: calculation of health care cost savings Clarke,A.P.;J.A.Shutinga https://doi.org/10.1007/BF01623926
  4. Clin. Orthop. v.252 The future of hip fractures in the United States:numbers, costs and potential effects of postmenopausal estrogen Cummings,S.R.;S.M.Rubin;D.Black
  5. Eur. J. Obstet. Gynecol. Reprod. Biol v.64 no.SUP.1 Efficacy and safety of Menorest in two positive-controlled studies Pornel,B. https://doi.org/10.1016/0301-2115(95)02355-0
  6. Int. J. Gynaecol. Obstet. v.52 no.SUP. 1 a clinical overview Wren,B.
  7. Am. J. Obstet. Gynecol. v.144 Comparison of pharmacodynamic properties of various estrogen formulations Mashichak,C.A.;R.A.Lobo;R.Dozono-Takano;P.Eggena;R.M.Nakamura;P.F.Brenner;D.R.Mishell Jr. https://doi.org/10.1016/0002-9378(82)90218-6
  8. Matruitas v.17 Long-term effects of transdermal and oral estrogens on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in postmenopausal women Adami,S.;M.rossini;N.Zamberlan;F.Bertoldo;R.Dorizzi;V.Lo Scscio https://doi.org/10.1016/0378-5122(93)90046-K
  9. Menopause v.5 Effects of oral and transdermal hormone replcement therapy on lipoprotein(A) and lipid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schia,M.;F.Bruschi;M.Soma;F.Amicarelli;R.Paoletti;P.Crosignani
  10. US Pharmacist v.23 Estrogens and postmenopausal women Maddox,R.W.;D.S.Carson;C.L.Barnes
  11. JAMA v.288 Risks and benefi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an: principal results from the women's Health initiatives radomized controlled trial Writing group for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investigators https://doi.org/10.1001/jama.288.3.321
  12. Kor. J. Biotechnol. Bioeng. v.17 Effect of plant extract [FGF271] on estrogen replacement Kim,J.S.;J.H.Park;H.S.Cho;J.S.Park;E.K.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