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ale Images shown in the Music Videos Costumes -Focused on the Music Videos produced between 2000 and 2002-

뮤직비디오 의상에 나타난 남성 이미지 연구 -2000년부터 2002년 현재까지-

  • Do, Heuy (Dept of Clothing & Textil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Yang, Sook-Hi (Dept of Clothing & Textil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도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양숙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4.05.01

Abstract

Music videos provide for many others images, alluring the audience to fall in another emotional world, while the sexual images shown in them suggest new images of man and woman. Today, men's images are being interpreted from various viewpoints. As interests in men's fashion are visualized through music video clothing, not only juveniles who want to be identified with the music video images but also adults try to imitate them, and proceed to wear the clothing, obliterat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and creating new images of men.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male images shown in the music videos, particular their clothing, produced between 2000 and 2002.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1. Since beginning of the human history, men's image has been characterized by patriarchal system, capitalism, bourgeois class which emerged after industrial revolution and other man-dominant socio-cultural phenomena, such male image are shown in the music video as conservative and dominant image. 2. However, due to the post-modern culture, the power began to be decentralized. while feminism and men's liberation movement gain strength. As a result, women or heterosexuals began to regard men as sexual objects, and such a phenomenon is featured as sexual, bisexual or decadent images in the music videos. 3. On the threshold of the 21st century, music videos have begun to creatively describe men's life, their social conflicts, dreams and hopes and death and thereby. feature men's such images as being destroyed in view of existentialism. The numerous creative men's images interpreted in this way are featured in many music video works only to create playful, cyborg or demonic images using the senses. After all, men's images are featured in the music video costumes in diverse ways ranging from the conventional images to acquiescent images. In addition, various male images are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videos to be re-created anew. The young men in the our modern age tend to imitate or apply such images to create their own images or individualistic styles. All in all, men's image can be fixed no longer but diversified and fragmented in the new age.

Keywords

References

  1. 박미아 (1993), 뮤직비디오 이야기 서울: 우리문화사. P. 13
  2. 김형곤 (1992), 새로운 영상 매체 뮤직비디오. 포스트 모던시대의 비판 언론학. 서울: 한울. p. 312
  3. 엄혁, 이유남, 강영희, 김복진. 백지숙 공저 (1993). TV : 가까이 보기. 멀리서 읽기. 서울: 현실문화 연구. pp.129-131
  4. 하남경 (1994), 뮤직비디오 수용을 통한 젊은이들의 문화적 실천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8-29
  5. 강경호 (1998). 케이블TV 뮤직비디오의 심의에 관한 연구 중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
  6. 최대실 (1998). 뮤직비디오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4
  7. 백지숙 (2000) 뮤직비디오를 둘러싼 시선과 이미지들. 문화읽기 . 삐라에서 사이버문화까지. 서울: 현실문화연구. pp. 244-245
  8. 최대실. (1998). 뮤직비디오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9. 강명구 (1996), 소비대중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서울. 민음사, p. 261
  10. 고지형. POP Music Video 의상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3-24
  11. 김수경 (1998) 서양복식에 표현된 남성 이미지의 해석에 관한 고찰-닫힌 체계에 의한 인체 이미지를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집, p. 35
  12. Kuhne Thomas 외 조경식. 박은주 역 (2001). 남성의 역사. 서울: 솔, pp. 9-10
  13. 이민선. 남성의 몸과 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
  14. 김수경 (1998) 서양복식에 표현된 남성 이미지의 해석에 관한 고찰-닫힌 체계에 의한 인체 이미지를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집, p. 36
  15. Edwards, Tim (1997). Men in the mirror: Men's fashion, masculinity and consumer society. CASSELL, p. 12
  16. Kellner. D. (1994), Madonna, fashion and identity, on fashion. New Jersey: Rutgers Univ. Press. p. 160
  17. Craik, J., 정인희. 함연자. 정수진. 김경원 역 (2002), 패션의 얼굴 서울: 푸른솔. p. 307
  18. 전경숙. 이기향, 최진영 (2000). 남성 동성애자 집단의 의복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0권, 8호. p. 69
  19. 김수경. (1998) 서양복식에 표현된 남성 이미지의 해석에 관한 고찰-닫힌 체계에 의한 인체 이미지를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집, p. 36
  20. 정세희 (2000), 영화의상에 나타난 젠더(Gender) 정체성-1930년대부터 1990년 대 까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21. 김택환 (1997). 영상미디어론, 서올: 커뮤니케이션북스. P. 93
  22. 정은영 (1994), 한국 소녀들의 뮤직비디오 소비와 문화적 실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7
  23. Vinken. B. (1999), Transvesty-travesty: Fashion and gender. Fashion Theory, VoL 3. Issue 1. p. 35
  24. Craik. J.. 정인희. 함연자. 정수진. 김경원 역 (2002), 패션의 얼굴 서울: 푸른솔. p.332
  25. 이민선. 김민자 (2000) 남성의 몸과 패션에 표현된 미적 이미지(I)-남성 패션에 표현된 에로 티시즘을 중심으로-. 복식학회지, 제51권, 1호. p. 167
  26. 김유로 (1999),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쾌락주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p. 38
  27. 정세희. (2000), 영화의상에 나타난 젠더(Gender) 정체성-1930년대부터 1990년 대 까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3
  28. 김윤정 (2000). 현대 디자인에 나타난 앤드로지너스 경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29. 장미숙 (1998),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네오아방가르드 경향에 관한 연구- 1990년대 후반 캣워크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7-38
  30. 이민경, 한영숙 (1999), 블랙 페티시 패션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제7권, 2호. p. 324
  31. 타타르키비츠 W., 손효주 역 (1999), 미학의 기본 개념사 서울: 미술문화. P. 316
  32. 장미숙. (1998),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네오아방가르드 경향에 관한 연구- 1990년대 후반 캣워크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5
  33. 윤혜진 (1998) 후기자본주의의 사회의 여가특성과 패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4
  34. 김유로 (1999),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쾌락주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p.49
  35. 학원사 편집부 (1998). 철학대사전 서울. 학원사. p. 81
  36. 한명숙, 이민경. 패션의 사이버펑크 (Cyberpunk)개념 분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제16권, 2호. p. 56
  37. Hollander. A., 채금석 역 (1996). 의복과 성(性). 서울: 경춘사, p. 46
  38. 파피나, J., 송병선 역 (1998) 악마의 이야기. 서울:. 예문, pp. 183-184
  39. 파피나, J., 송병선 역 (1998) 악마의 이야기. 서울:. 예문, p. 236
  40. Russell, J. B.. 최은석 역 (2000). 악마의 문화사. 서울: 황금가지, p.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