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TD Verification of an Improved Conversion Model for an Open-Ended Coaxial Probe

개방단말 동축선 프로브의 개선된 환산모델에 대한 FDTD 검증

  • 조유선 (고려대학교 전파공학과) ;
  • 현승엽 (고려대학교 전파공학) ;
  • 김세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영상미디어연구센터)
  • Published : 2004.05.01

Abstract

The complex permittivities of methanol measured from 0.2 to 2.0 ㎓ using an open-ended coaxial probe revealed the large deviation from the given data in literature. In this paper,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given or measured complex permittivity is similar to the real value of our methanol used for experiment. The FDTD method was applied to confirm the effect of our conversion model excluding the effect of sufficiently small measurement error. The complex permittivities reconverted from the computed reflection coefficient by employing our improved conversion model were not similar to the given value but measured value. These results assured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our measurement-and-conversion process.

개방단말 동축선 프로브를 사용하여 0.2∼2.0 ㎓에서 측정된 메탄올의 복소 유전율을 문헌에 주어진 값과 비교해 본 결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메탄올 용액의 복소 유전율이 측정치와 주어진 값 중에 어디에 더 가까운지를 조사하였다. 무시할만큼 작은 측정오차에 대한 영향은 배제하고, 환산 모델 오차만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FDTD 기법을 도입하였다. FDTD 수치 계산된 반사계수를 우리의 환산모델에 의해 복소 유전율로 환산한 값이 주어진 값이 아닌 측정값에 더욱 근접함을 보임으로서 우리가 사용한 측정-환산 과정의 정확도와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Surface-Penetrating Radar D.J.Daniels
  2. 한국전자파 학회 논문지 v.14 no.6 지하 탐사 레이더를 이용한 누수탐지 가능성 연구 오헌철;조유선;현승엽;김세윤
  3. Computational Electronics: The Finite-Difference Time-Domain Method A.Taflove
  4. Dielectric Materials and Applications A.V.Hippel
  5. FDTD Modeling of Coaxial Probes,M.S.dissertation J.S.Ployer
  6. 1999년도 추계마이크로파 및 전파학술대회 논문집 v.22 no.2 복소유전율 측정용 개방단말 동축선 프로브의 새로운 등가모델 신현;현승엽;김상욱;김세윤
  7. 대한전자 공학회논문지 v.37 no.37 개방단말 동축선 프로브로 측정된 마른 모래의 복소 유전율 신현;김세윤;김영식
  8. IEEE Trans. Instrum Meas. v.IM-38 no.2 Measurement of microwave pernittivity using a six-port reflectometer with an open-ended coaxial line F.M.Ghannouchi;R.G.Bosisio
  9. IEE Electronics Lett. v.31 no.2 Estimating errors due to sample surface roughness in microwave complex permittivity measurements obtained using a coaxial probe M.Arai;J.G.P.Binner;T.E.Cross https://doi.org/10.1049/el:19951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