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시멘틱 웹 기반 개방형 전자도서관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mantic Web Based Open Digital Library Model

  • 발행 : 2004.03.01

초록

최근에 이르러 차세대 웹 아키텍처인 시멘틱 웹에 관한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정보학적인 관점에서, 차세대 웹 아키텍처인 시멘틱 웹은 하나의 거대한 메타데이터 조직으로 볼 수 있다 시멘틱 웹을 거대한 메타데이터 조직으로 볼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시멘틱 웹을 구축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가 웹 정보자원에 대한 정형화된 메타데이터를 작성하는 것이기 때문이며, 이용자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쉽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멘틱 웹 환경 하에서 서로 다른 정보체계구조를 지닌 개방형 전자도서관간의 상호 운영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새로운 방식의 응용프로화일 메타데이터구조를 개발하였다. 새로운 방식의 응용프로화일 메타데이터구조를 토대로, 개방형도서관모델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대규모메타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한 통합메타데이터 자동생성 및 통합검색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investigation and development of the next generation web - the Semantic Web. From the perspective of a information science, the next generation web - Semantic Web is a metadata initiative. It is reason that one of important stage of Semantic Web Construction is adding formal metadata that describes a Web resource's content and so people can find easy material using metadata. In this paper, 1 designed new application profile metadata architecture as a way to serve as interoperability between various open digital libraries using different information architecture in Semantic Web environment. Based on new application profile metadata architecture, 1 developed union metadata automatic generation and union search algorithm to integrate heterogeneous huge-scale metadata in the open digital library.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수상. 2002. 전자도서관의 최근 동향. "데이터베이스 연구 18권 3호"
  2. 송종철, 이동일, 문병주. 2002. Semantic Web의 표준화 및 요소기술 개발 동향. "정보통신연구진흥원 IT정보단".
  3. 황상규, 오경묵, 변영태. 1999. 어휘의미 중의성의 인터넷 정보검색 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지 제16권 제3호".
  4. Tim Bemers-Lee, James Hendler and Ora Lassila. 2001. "The Semantic Web." Scientific American.
  5. Hewlett-Packard Company. 2003. "Introduction to Semantic Web Technologies."
  6. Adam Pease. 2002. "Why Use DAML?"
  7. Frank van Harmelen and Ian Horrocks. 2000. "Questions and answers on OIL : the Ontology Inference Layer for the semantic web." IEEE Intelligent Systems volume 15, number 6.
  8. Sean Luke and Jeff Heflin. 2000. "SHOE 1.01.". SHOE Project.
  9. Tim Berners-Lee. 2001. "Notation 3."
  10. Peter Weinstein. 1998. "Ontology-Based Meta-data: Transforming the MARC Legacy" Proceedings of the Third ACM Digital Library conference, Pittsburgh, PA, USA, June.
  11. Sean Luke.2000. "Dublin Core Ontology."
  12. Catherine C. Marshall and Frank M. Shipman. 2003. "Which Semantic Web?" Hypertext'03 Conference.
  13. Thomas G. Habing, et. al. 2002. "The University of Illinois Open Archives Initiative Metadata Harvesting Project."
  14. Timothy W. Cole, et. al. 2003. "Open Archives Initiative Metadata Harvesting Project."
  15. Roland Alden, et. al. 1998. "RFC 2426, vCard MIME Directory Profile."
  16. Library of Congress. 2001. "MARC to Dublin Core Crosswalk."

피인용 문헌

  1. Library Information Service on the Web 2.0 vol.39, pp.1, 2008, https://doi.org/10.1633/JIM.2008.39.1.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