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yclability Analysis of Slags Obtained at Gasification and Incineration-Melting Conditions

가스화와 소각 용융 조건에서 생성된 슬랙의 재활용성 분석

  • 윤용승 (고등기술연구원 플랜트엔지니어링센터) ;
  • 이계봉 (고등기술연구원 플랜트엔지니어링센터)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In order to utilize inorganic components in coal and wastewater sludge as an environmentally stable material, slag-forming is considered as one of the suitable methods better than producing as an ash. Coal slag that was produced by gasification as well as the slag made from wastewater sludge by incineration or melting process have been analyzed with the viewpoint of recyclability. Slags produced by water quenching exhibited a cracked shape that has a size of few millimeters with sharp edges. Slags contain the unburned carbon content below 0.15% and expose mostly amorphou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alysis results in the extraction of heavy metal compounds demonstrate that both slags from coal and wastewater sludge could be utilized as a safe recycle material even with a Japanese environmental regulation that is ten times more stringent than the current Korean standard. Slags from coal and wastewater sludge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ents of each heavy metal compound. Since the future trend of environmental regulation shifts to the control of total content for each heavy metal compound, proper mixing of slags that contain different heavy metal contents might be an option for manufacturing recycle materials.

석탄 및 하수슬러지 내에 함유된 무기물질을 환경적 측면에서 안정적인 물질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회재의 형태가 아닌 슬랙의 형태로 발생시키는 것이 한 방법이다. 가스화 반응에서 생성된 석탄 슬랙과 소각ㆍ용융과정에서 생성된 하수슬러지 슬랙의 특성을 분석하여, 재활용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급냉을 시킨 슬랙들은 잘게 쪼개진 수 mm크기로 발생되었고, 함유된 미연탄소분은 모두 0.15% 이하였으며 슬랙의 구조는 대부분 무결정형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었다. 분석 결과를 보면, 석탄 슬랙과 하수슬러지 슬랙 모두 중금속 성분이 용출되는 양은 국내기준치의 10배나 엄격한 일본기준보다도 훨씬 낮아서 재활용 물질로 활용하는 데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슬랙 내에 함유된 중금속 농도에서는 큰 차이가 있었는데, 향후 중금속 함량규제가 도입될 경우에는 두 슬랙 원료의 혼합 활용을 통해 중금속 함량 조절도 가능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NREL Report Forecasting the Benefits of DOE Programs for Advanced Fossil-Fuel Electricity Generating Technologies Shaffer,F.;Chan,M.
  2. DOE Report DCN 99.803931.02 A Comparison of Gasification and Incineration of Hazardous Wastes Wetherold,B.;Orr,D.;Maxwell,D.
  3. 에너지공학 v.10 no.2 건식가스화기 시료의 선정인자 및 변화에 따른 가스화 특성과 주요 운전상 문제점 윤용승;정석우;김원배
  4. J. Korean Ind. Eng. Chem. v.14 no.4 건식 석탄가스화기에서 생성된 미랑가스와 비산재의 특성 윤용승;이계봉;정석우
  5. 소각재 처리 및 이용기술 워크샵 하수슬러지 열분해 용융기술 윤용승;유영돈;김원배;정석우
  6. 에너지공학 v.8 no.1 Bench Scale급 기류층 석탄가스화기에서 회분의 용융 특성 정봉진;이중용;이계봉;윤용승
  7. 에너지공학 v.11 no.2 가스화 조건에서 탄종에 따른 석탄 슬래그 점도 거동 문인식;조철범;오명숙
  8. Applied Chemistry v.5 no.2 석탄슬래그 점도가 크롬계 내화물의 침식에 미치는 영향 김한봄;오명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