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TALOGUE OF METEOR SHOWERS AND STORMS IN KOREAN HISTORY

한국 역사서 속의 별똥비와 별똥 소나기의 목록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We present a more complete and accurate catalogue of astronomical records far meteor showers and meteor storms appeared in primary official Korean history books, such as Samguk-sagi, Koryo-sa, Seungjeongwon-ilgi, and Chosen-Wangjo-Sillok. So far the catalogue made by Imoto and Hasegawa in 1958 has been widely used in the international astryonomical society. The catalogue is based on a report by Sekiguchi in 1917 that is mainly based on secondary history books. We observed that the catalogue has a number of errors in either dates or sources of the records. We have thoroughly checked the primary official history books, instead of the secondary ones, in order to make a corrected and extended catalogue. The catalogue contains 25 records of meteor storms, four records of intense meteor-showers, and five records of usual showers in Korean history. We also find that some of those records seem to correspond to some presently active meteor showers such as the Leonids, the Perseids, and the n -Aquarids-Orionids pair. However, a large number of those records do not correspond to suck present showers. This catalogue we obtained can be useful for various astrophysical studies in the future.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 정통 한국 사서 원전에 수록되어 있는 천문관측 자료에서 별똥비와 별똥 소나기 기록을 검색하여 천문학적인 검토를 거쳐 그 목록을 작성하였다. 한국 사서에 나오는 별똥비 기록은 현재 국제 학계에 1958년 Imoto와 Hasegawa가 영문으로 발표한 논문이 표준이 되고 있는데, 이 문헌은 주로 1917년에 조선총독부에서 주관한 연구과제의 일환으로 일본인 관구리길가 작성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가 만든 목록은 날짜나 원전 인용 상의 오류를 상당히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정사서 원전을 검색하여 철저한 고증을 거쳐 수정되고 확장된 별똥비 및 별똥 소나기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지난 2천년 동안 한국의 역사서에는 별똥 소나기가 25번, 센별똥비가 4번, 보통 별똥비가 5번 기록되어 있었다. 그 가운데 일부는 사자자리 별똥비, 페르세우스 별똥비, 핼리혜성의 의해 생기는 물병자리-/sub n/ 별똥비와 오리온자리 별똥비 등에 속한 것으로 보이는 것이 있었으나, 상당히 많은 기록들은 이에 속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목록은 추후 많은 천체물리학적 연구에 유용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나일성 1979, 한국천문학회지, 12, 35
  2. 안상현 2000, 우리가 알아야할 우리 별자리 (서울: 현암사)
  3. 안상현, 배현진, 조혜전, 정성욱 2002, 천문학논총, 17, 23
  4. 전상운 2000, 한국과학사 (서울: 사이언스북스)
  5. 한보식 1987, 한국년력대전 (대구: 영남대학교 출판부)
  6. Ahn, S. 2003, MNRAS, 343, 1095 https://doi.org/10.1046/j.1365-8711.2003.06752.x
  7. Bone, N. 1993, Meteors (Cambridge, MA: Sky Pub. Co.)
  8. Imoto, S., & Hasegawa, I. 1958, Smithsonian Contributions to Astrophys., 2, 131
  9. Mason, J. 1995, J. of the British Astron. Soc., 105, 219
  10. Meeus, J. 1991, Astronomical Algorithms (Richimond: Willmann-Bell Inc.)
  11. Sekiguchi, R. 1917, Astron. Herald Japan Astron. Soc., vol. 10, nos. 8 and 9

Cited by

  1. Meteoric activities during the 11th century vol.358, pp.4, 2005, https://doi.org/10.1111/j.1365-2966.2005.08630.x
  2. Meteoric Activities of the Last Millennium vol.95, pp.1-4, 2006, https://doi.org/10.1007/s11038-005-1767-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