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Jangsam in Buddhist Priest's and Shaman's costumes

승복과 무복으로 착용되는 장삼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This paper researched and compared the Jangsam religious costume, of Buddhism in Yeongsanjae with that of Shamanism in Gutgeori. Jangsam is a full length, flaxen hemp dress used in both religions. (Ed-please amend this sentence as necessary but note that it is essential to give some description of the costume here for non-Korean readers) The religious point of view can cause Jangsam's features to differ Jangsam's mean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wearing Jangsam in both the Buddhist priest's and Shamans' costumes is to gain power from the Almighty in order to maximize the religious effect. Second, Jangsam in the Shaman's costume features universality mixed with Buddhism and folk religion and becomes symbolic in Buddhism. As society disregards Shamanism, it has become combined with Buddhism. Third, Jangsam for Yeongsanjae or Chukwon Gut has kept its religious specialty as a Pyoeui despite various modifications.

Keywords

References

  1. 고복남(1981). 한국복식용어의 변천적 연구. 한국민속학. 14. 81
  2. 김경숙, 안명숙(2000). 아시아 地域의 架娑 着用現況에 관한 考察. 服節, 50(8), 75-86
  3. 김은정(2003). 巫服長彩의 考察. 비교민속학, 25, 545-564
  4. 김은정, 김용서(2002). 강신무복의 전통성에 관한 연구. 한국무속학, 4, 5-18
  5. 김태희(1988 ) . 韓國增服의 歷史的연구.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6. 나경수 (1982 ). 제석무가의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李能和(1991 . 朝蘇巫倚考. 동문선, 215
  8. 文化財管理局(1988). 靈山濟. 無形文化財 50.9
  9. 박정숙 (1994 ) . 한국무복에 나타난 전통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신난숙 ( 1978 ) .우리나라 가사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11. 서대석( 1984 ) .무속과 민중사상.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492
  12. 성보문화재 연구원 ( 1997). 해인사 금동비로자나불 복장유물의 연구
  13. 안명숙(1989) . 如法衣에 관한 昭究.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양종승(1999). 한국의 무속. 국립민속박물관. 14
  15. 양미경(1997). 한국무복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관한 연구. 服節, 31 , 5-16
  16. 이경자(1983) . 한국복식사론. 일지사.142
  17. 이자연(1997).무속복식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연구. 服節, 32, 213-224
  18. 이초연 (1990) .한국불교 영산재 무복에 관한 연구.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순덕(1995) 韓國짧娑에 대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임영자(1990) . 韓國宗敎服飯. 아세아문화사 . 34
  21. 영산재도록(2002) .한국불교태고종 봉원사 영산재보존회 . 10
  22. 유수진(1999). 복식양식의 보편성과 특수성. 서울대학교학위논문
  23. 유효순(2000). 한국 무속복식의 조형성 고찰. 服節,50(6), 5-20
  24. 조아란, 조효순(1997). 조선시대 무속복식연구. 服節, 34, 195-208
  25. 조윤진(2000) . 황해도 만구대태굿 무복의 상징에 관한 고찰. 서울대학교 학위논문
  26. 한미혜(1989). 한국승려가사에 관한 고찰. 세종대학교석사학위논문
  27. 홍윤식(1994). 영산재. 대원사.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