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ediation Design Using Soil Washing and Soil Improvement Method for As Contaminated Soils and Stream Deposits Around an Abandoned Mine

토양 세척법과 석회를 첨가한 토양 안정화 공법을 이용한 폐광산 주변 비소 오염 토양 및 하천 퇴적토 복원

  • 이민희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이정산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차종철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최정찬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이정민 (한국수자원공사 댐환경처)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Removal efficiencies of soil washing and soil improvement processes to remediate farmland soils and stream deposits around Goro abandoned mine were investigated with batch and column experiments. For As-contaminated farm-land soils around Goro mine, batch tests to quantify As extraction rate from contaminated soils and lime treated contaminated soils were performed. The contaminated soil mixed with lime decreased As extraction rate less than one fourth, suggesting that the soil improvement method mixed with lime dramatically decrease As extraction rate. A storage dam will be construct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stream connected to Goro abandoned mine and the amount of As extracted from the bottom soils of reservoir could be the main source to contaminate water of reservoir. The decrease of As extraction amount from the bottom in reservoir,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the soil improvement method was investigated from the physically simulated column experiment and results showed that As extraction rate decreased to one forty when 1% lime mixed soil improvement was applied to contaminated soils. For contaminated stream deposits connected Goro mine,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soil washing method was investigated with batch experiments. Hydrochloric acid, citric acid, acetic acid and distilled water were used as soil washing solution and 0.01, 0.05, 0.1, 0.5, 1.0 N of washing solution were applied to extract As. When washing with 0.05 N of hydrochloric acid or citric acid, more than 99.9% of As was removed from stream deposits, suggesting that As contaminated stream deposits around Goro mine be successfully remediated with the soil washing process. Total volumes of contaminated soils and deposits needed for remediation were calculated based on three different reme-diation target concentrations and the operation cost of soil washing for calculated soil volumes was estimated. Results from this research could be directly used to make a comprehensive countermeasure to remediate contaminated area around Goro mine and also many contaminated areas similar to this research area.

비소로 오염된 고로폐광산 주변 농경지 토양과 하천 퇴적토에 대하여, 토양 정밀조사를 통하여 규명된 오염 면적과 오염 지도를 바탕으로 복원 공정 설계를 실시하였다. 실내 실험을 통하여 오염 농경지 토양에 대하여는 석회를 첨가한 토양 안정화 공법의 처리 효율을 검증하였으며, 오염 하천 퇴적토에 대하여는 토양 세척법의 처리 효율을 규명하였다. 비수몰지역의 오염 농경지 토양의 복원 효율을 규명하기 위하여, 비소 농도가 다른 폐광산 주변 농경지 오염 토양 4종류에 대하여 비소 용출률 배치 실험을 실시한 결과, 석회를 혼합한 토양의 비소 용출이 오염 토양을 그대로 이용한 경우보다 평균 5배 이하로 감소하였다. 댐 건설 후 수몰되는 지역에서 저수지 바닥으로부터 저수지 수계로 용출되어지는 비소의 용출률을 예측하고, 석회를 첨가한 복토를 실시한 경우 저수지 바닥에서 용출되는 비소의 용출률 감소를 규명하기 위하여 아크릴 칼럼(지름 18.9cm, 높이 30cm)을 이용하여 저수지 바닥에서의 비소 용출 모의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복토를 실시하지 않은 오염 토양에서의 비소 용출률은 연간 약 3.05∼3.89%를 나타내었으며, 석회 1%를 혼합하여 복토한 경우 저수지 바닥으로부터 비소 용출률은 연간 0.11∼0.05%를 나타내어 석회를 혼합한 복토처리 시 저수지 바닥에서 수계로의 비소 용출은 약 40배 이상 감소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몰된 농경지 복원에 매우 적절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 세척법을 이용하여 하천 퇴적토를 복원하는 경우, 세척 효율을 규명하기 위하여 하천 퇴적토 3종류에 대하여 초산, 구연산, 염산 각 0.01, 0.05, 0.1, 0.5, 1.0N 수용액과 증류수에 대하여 각각 토양 세척 효율 배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염산과 구연산 용액으로 세척하는 경우 0.05 N에서 한 시료를 제외하고는 비소에 대하여 99.9% 이상의 제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비소로 오염된 하천 퇴적토는 적절한 세정용액을 이용한 세척과정에 의해서 충분히 제거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오염 퇴적토 내 비소의 90% 이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 지도에 근거하여 산출된 복원 물량에 대하여 토양세척법을 이용하는 경우 복원 비용을 산출하였으며, 이와 같은 자료는 고로폐광산 주변 오염 토양에 대한 실제 복원 공정의 설계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토양환경학회지 v.4 진곡광산 광미와 주변 토양의 오염조사 김선태;윤양희;박제안;심의섭
  2. 자원환경지질 v.32 구봉광산 일대 광미, 하상퇴적물 및 주변 토양에서의 중금속원소의 존재 형태 김종욱;문희수;송윤구;유장한
  3. 자원환경지질 v.30 폐금속광산하부 농경지 토양의 중금속오염과 그 복구방법으로서 반전객토의 효율성 나춘기;이무성;정재일
  4. 한국토양환경학회지 v.3 산침출에 의한 광미중 비소성분의 제거에 관한 연구 오종기;이화영;김성규;이재령;박재구
  5. 한국토양환경학회지 v.4 폐금속광산 광미 및 주변 오염토양 세정에 관한 연구 이동호;박옥현
  6. 한국토양환경학회지 v.3 폐광산 지역의 비소오염에 대한 복원목표 설정 이효민;윤은경;최시내;박송자;황경엽;조성용;김선태
  7. 토양 · 지하수오염 이민효
  8. 한국지하수환경학회지 v.5 충주호 상류, 상곡 광산 수계에 분포하는 토양과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오염 이현구;이찬희
  9. 한국토양환경학회지 v.2 중금속에 의해 오염된 토양에 대한 토양세척기법의 적용성 연구 정동철;이지희;최상일
  10. 자원환경지질 v.32 휴/폐광 금은광산 주변의 토양오염조사와 복구시스템 연구 정명채
  11. 자원환경지질 v.36 토양 정밀 조사에 의한 폐광산 주변 오염 토양 및 하천퇴적토의 오염도 평가 및 오염 토양 복원 규모 설정 차종철;이정산;이민희
  12. 화북댐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초안 한국수자원공사
  13. 화북댐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보완) 한국수자원공사
  14. 한국토양환경학회지 v.3 광산매립지에서 중금속(As)의 용출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춘;서명조;윤도영;최상일;이화영;김성규;오종기
  15. 폐금속광산 오염실태 정밀조사 결과 보고서 환경부
  16. 토양환경보전법 환경부
  17. 한국토양환경학회지 v.5 서성 연-아연광산 주변 농경지 토양의 중금속 오염 연구 황은하;위수민;이평구;최상훈
  18. Innovative site remediation technology (Soil Washing/Soil Flushing) Anderson,W.C.